충주 양돈장 양성 확인…방역대 벗어난 첫 발생지 항체 형성전 초기상태서 발견…백신검토 안해 내륙 중심부인 충북 충주의 양돈장에서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 전국 확산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이에따라 발생농장 반경 3km이내 우제류 가축을 매몰처분 하는 한편 최고수준의 위기관리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그러나 충주의 구제역 발생 양돈장의 경우 인천 강화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데다 일단 기계적 전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정부의 노력에 불구하고 방역에 구멍이 뚫린 것 아니냐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강화·김포와 같은 ‘O’ 타입 농식품부는 지난 22일 충북 충주시 신니면의 양돈장과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의 한우농장이 구제역 양성(O-타입)으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돼지 1천두 사육규모인 충주 양돈장은 인천 강화의 1차 발생농장으로 부터 136km 떨어져 있어 기존 강화와 김포의 방역대를 벗어난 첫 발생지가 됐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충북 충주에서는 지난 2000년에도 구제역이 발생한 바 있는데 이번 구제역 발생 농장 3km이내에는 지난 23일 현재 △한육우 1천107두 △젖소 401두 △돼지 1만818두 △염소 201두 △사슴 107두 등 모두 93개농가에서 1만2천800여두가 사육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농식품부는 충주가 내륙의 중심지역일 뿐 만 아니라 바이러스 배출량이 소에 비해 최대 3천배가 많은 돼지인 만큼 전국 확산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 반경 3km이내 모든 우제류 가축을 신속히 매몰처리키로 했다. 이와는 달리 구제역이 광범위하게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 강화지역의 경우 이번 추가 발생농장에 대해서는 우선 반경 500m까지 매몰처분하고 발생추이에 따라 확대여부를 결정키로 했다. 또한 위기경보 수준은 현행 ‘경계단계’를 유지하되 ‘심각단계’ 에 준하는 대응태세를 갖추도록 했다. 농식품부 제2차관이 맡아온 구제역대책본부장을 농식품부 장관으로 격상하고 모든 시·도 및 시·군에 방역대책 본부를 설치하되 그동안 해당 지방지차단체의 부단체장이 맡아오던 본부장 역시 단체장으로 하여금 지휘토록 했다. 농식품부 장관이 구제역대책본부를 직접 지휘토록 한 것은 4차례 발생 가운데 처음으로 그만큼 정부가 이번 구제역 사태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베트남·일본까지 동시 발생 하영제 농식품부 제2차관은 지난 22일 브리핑을 통해 “연관성을 찾기 힘든 지역에서 추가로 발생한데다 중국과 베트남, 몽골은 물론 일본까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만큼 (정부도) 굉장히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면서 “경계단계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최고의 위기 대응체계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해 이를 뒷받침했다. 그러나 백신접종은 생각지 않고 있다고 밝혀 지금으로서는 매몰처분 정책에 변화가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방역당국은 이번 충주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의 조기 차단을 위해 긴급 역학조사반을 투입, 강화나 김포의 발생농장과 관련여부를 파악하는 등 그 원인을 찾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하영제 차관은 이와관련 “농장주의 최근 구제역 발생국 여행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역학조사 결과가 나와야 정확한 원인을 알겠지만 일단 사람에 의한 전파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유입이 아닌 사람이나 차량 등 기계적 전파에 의한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사실상 강화나 김포의 방역저지선이 뚫렸음을 시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대해 이병모 대한양돈협회장은 “양돈협회의 지적에도 불구, 구제역 기간동안 방역당국의 채혈검사가 계속 됐을 뿐 만 아니라 강화지역의 경우 관광객들의 반발이 이어지면서 형식적인 소독이 이뤄지고 있다는 소식도 들리고 있다”며 “보다 강력한 방역대책이 전개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