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2010.05.15 09:56:18
계획교배로 우수 송아지 생산을 한우 고급육 생산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기본적인 것은 밑소(송아지) 선발에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도체의 등급판정결과를 토대로 KPN(보증씨수소)별 유전능력과 도체성적을 비교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결과에 따라 송아지 선발 및 구입 그리고 사양관리 지표를 설정해 농가들이 고급육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소개한다. 특히 등급판정결과의 피드백도 농가들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생산농가도 송아지 선발과 구입에 있어 나름대로 기준과 요령이 있겠지만 단순히 눈으로 옆 송아지와 비교해 크고 작은 것을 구별하거나 KPN 번호에 대해 맹목적인 확신을 갖기보다 발육과 체형을 월령별로 비교해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혈통, 부모의 능력이 어떤지 알고서 구입한다면 확실한 가능성을 가지고 시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KPN별 성적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도축된 한우거세 1만여두의 등급판정결과와 개체정보를 조회해 부계와 모계의 아비, 외조부, 외증조부의 보증씨수소를 찾아 부계의 KPN별 단순성적을 비교하고, 부계와 모계의 KPN을 통해 자손의 유전능력을 예측해 도체성적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부모의 혈통이 송아지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지 중요한 근거자료가 된다. 이 조사 자료는 근내지방도 위주로 한 것이며 환경적인 영향(계절, 지역, 사양 관리 등)을 배제한 단순비교 분석 자료이다. 개체수가 100두 이상의 부계의 KPN별 단순 성적으로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항목별로 상관관계가 아주 낮거나 거의 없는 것으로 비교분석 됐으며 육종가가 높은 KPN의 개체가 반드시 도체성적이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는 결과적으로 모계형질을 무시한 단순 부계형질만 비교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참고로 근내지방도의 경우는 육종가가 아주 낮은 KPN이 대부분 도체성적 결과가 아주 낮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었다. 부계 보증씨수소별 도체성적만으로는 명확하게 상관관계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부계와 모계(어미의 아비, 어미의 외조부, 어미의 외증조부)의 개체정보조회를 통한 KPN별 육종가 대비 자손능력 예측치와 근내지방도 성적을 부계의 육종가와 비교 했을 때 자손의 육종가가 부계의 육종가보다 낮을 경우와 높을 경우를 나누어 비교분석한 결과 자손의 유전능력 예측치 육종가가 아비의 육종가보다 높게 나타난 경우 근내지방도 평균성적이 높게 나타나고 낮을 경우 근내지방도 평균성적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인 형질개량의 중요성과 함께 어미의 유전적인 개량이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수한 종모우와 암소의 체계적인 혈통관리 및 계획교배로 우수한 송아지를 생산 및 선발하고 농가별 적절한 사양관리로 최적의 조건을 갖춘다면 고급육생산에 큰 도움과 함께 농가소득증대에도 많은 보탬이 되리라 생각된다. 마동준 과장(축산물품질평가원 대구경북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