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자체 과반수 자체사업 전개…입찰가 원가에도 못 미쳐

■긴급점검/ 좁아지는 환경개선제 관납시장

김영길 기자  2010.05.19 15:37:26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시군, 무료·초저가로 제공…업계 “품질경쟁만이 살길”

과 수년전 만해도 환경개선제는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각광받았다. 업체들로서는 시장이 관납 중심으로 흐르면서 어느정도 매출이 뒤받쳐주는 데다 수금걱정도 따로 필요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최근 2~3년 사이 환경개선제는 ‘찬밥신세’로 전락했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직접 환경개선제 사업에 참여하고 부터다. 업계에 따르면, 전국 시군 농업기술센터 중 절반 정도되는 60개 가량이 환경개선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량으로 따져도 총 공급량의 50%를 넘어서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 센터는 무료 또는 초저가로 농가들에게 환경개선제를 제공한다. 지자체 관납에 의존하고 있는 업체들은 사업을 그만둬야 하는 위기에 몰렸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입찰가격이 생산원가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 일정 마진율을 가져가야 하는 업체들로서는 도저히 경쟁할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푸념했다.
다른 관계자는 “그나마 대다수 지자체들은 환경개선제 보조지원 사업을 중단하는 추세다. 지자제의 경우 주민환원이 주목적이다. ‘보여주기식’ 치적사업으로 환경개선제를 선택하는 모양새”라고 설명했다.
올 들어서는 특히 구제역이 환경개선제 시장 발목을 잡았다. 상반기에 예산을 집행하려 했던 일부 지자체들 마저, 구제역이 진정된 이후로 사업시행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한 관계자는 “구제역 소독제에만 사업을 집중하면서, 환경개선제 사업은 완전히 뒷전으로 밀려 있다. 하반기에 입찰이 된다고는 하지만, 한시가 급한 만큼 서둘러 구제역이 종식되고 환경개선제 관납 시장도 열렸으면 한다”고 토로했다.
이밖에도 일부 시도 지자체가 시군에 ‘해당지역 생산공장’이라는 권고공문을 시달하면서, 환경개선제 업체들은 입찰참여 자체를 제한받고 있기도 하다.
환경개선제 관납 시장에서 설자리를 잃으면서 업체들은 차별화된 균주와 사후관리를 무기로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가격경쟁으로 치닫은 환경개선제 시장을 되돌리기에는 힘에 겨워 보인다.
한 관계자는 “업체들이 스스로 품질경쟁을 외면한 측면이 이 상황을 몰고 왔다. 지금부터라도 기술개발에 매진, 농가들이 돈 주고도 필요로 하는 제품을 내놓는다면, 다시 한번 환경개선제 시장 부흥을 기대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