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매월 분석 결과 일목요연 정리 활용을

■시리즈기획/등급판정으로 본 수익향상기술6? 돼지도체 품질평가결과 분석 및 활용방법(하)

기자  2010.06.09 09:43:53

기사프린트

항목별 문제점 찾아 개선 방안 강구
품질평가사 컨설팅 자문도 큰 도움


좀 더 자세하게 각 항목별로 살펴보자. 여기에서 원인을 살펴볼 때 유전적인 부분은 제외한다. 왜냐하면 거의 모든 부분(결함이나 마무리 제외)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유전이 관여하지 않는 부분이 없기 때문이다.
육질에서 육색이나 조직감의 하락률이 높은 경우에는 속성비육 여부 또는 수송, 도축, 냉장과정을 살펴봐야 한다. 물론 계절적인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
비육이나 균형에서 하락률이 높다면 살붙임정도와 체형 등이 좋지 않은 경우로 질병이나 사육환경을, 지방부착(규격)에서 하락률이 높은 경우에는 속성비육으로 인한 과비 또는 고열량에너지 사료를 급여했는지를, 결함(육질)이나 마무리(규격)에서 하락률이 높은 경우에는 질병 또는 상·하차시 취급 및 도축과정을 살펴봐야 한다. 평균하락률은 규격 7.7%, 육질 10.1%정도다.
품질평가에 관심이 있는 농가에서는 더 세분화해서 활용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위에서 설명한 내용정도만 숙지해서 반영하더라도 분명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여기에 한 가지 덧붙이면 매월의 분석결과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하는 일이다. 분석기간은 각 농장에 따라 적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종돈의 변화나 사료의 변화가 있을 때 등).
이 정리된 내용을 보고 가장 좋은 성적이 나왔던 때의 성적을 보면 사육방법, 출하시기 등에 대해 최적의 조건을 알 수 있다.
정리 방법은 전체의 내용을 하나의 표로 정리해도 좋고 또 항목별(등급출현율, 체중변화, 등지방두께, 하락률등)로 구분해서 관리하면 더욱 좋다.
컨설팅에서 경영자에게 권하는 내용이 있다.
그 하나는 등급출현율 목표를 A, B등급 몇%라고 하지 않고 A등급 몇% 이상으로 정하는 것이다.
목표를 단순화함으로서 규격돈 출하비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는 반드시 출하도축장에 한번이상 방문해서 본인이 출하한 돼지에 대해 품질평가사에게 설명을 들어보는 것이다.
막연히 “내 돼지는 좋은데 등급이 왜 이렇게 나오지?”하는 궁금증을 품고 만 있을 것이 아니라 직접 품질평가사에게 설명을 듣는 것이 실제적으로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란 말이 꼭 맞는 경우다.

박해천 차장(축산물품질평가원 대전충남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