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비육후기처리 여부따라 육질차이 확연

■시리즈기획 등급판정으로 본 수익향상기술 8? “돼지 사육에서 비육후기처리” 왜 해야 하는가? <상>

기자  2010.06.30 10:38:32

기사프린트

 
비육후기처리육 고품질 냉도체 특징 두드러져
품질평가원 ’08년 연구결과 육질 우수성 입증



“우리 현시점에서 양돈 산업의 백년대계를 위해 나아갈 방향은? 또는 대외 경쟁력제고를 위해 최선의 방안이 무엇이냐?”라는 질문에 대해 품질 고급화를 통한 국내산 돼지고기의 차별화라는 대답을 부인하는 양돈인은 드물 것이다.
과거에는 양돈농가에서 소득증대를 위해 일당 증체율 극대화에 초점을 맞춘 생산성 향상에 집중하였으나, 지금은 소비자가 원하는 돼지고기를 생산해야만 생존할 수 있다는 체감 정도가 점점 커지고 있다.
소비자 역시 가격보다 돼지고기의 맛과 안전성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중·도매 유통시장에서도 육질을 중시하는 거래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면 돼지고기의 품질 고급화를 위해 양돈농가에서 가장 먼저 개선할 과제는 무엇일까?
품질평가사로서 오랫동안 등급판정하면서 나름대로 좋은 돼지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냉도체의 특징을 보면 ①육색과 지방색이 좋고 ②등지방이 적당하면서 지방질이 좋은 것 ③도체중량이 상위등급 범위에 들어가면서 부위별 발달이 충실하여 육조직이 단단하며 ④육 단면에서 윤기가 나고 근내지방이 많은 경향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은 조건을 갖춘 도체는 비육후기처리를 한 돼지로부터 출현율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의 2008년 현장연구조사결과에 따르면 오늘의 주제인 “왜 비육후기처리를 해야 하는가?”라는 해답을 잘 설명해 주고 있는데, 2008년 3월부터 10월까지 홍주미트(충남 홍성군 소재)에서 냉도체 등급판정 받은 6개 양돈농가를 2개 그룹(실험군 : 3농가 = 607두, 대조구 : 3농가 = 2,796두)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다.
결과를 보면 비육후기 처리 돼지의 육질이 현격하게 좋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연구결과가 100% 비육후기처리 효과라고 할 수 없지만, 고급육을 생산하기 위해서 여러 요인에 대한 개선사항을 최종적으로 후기처리를 통해 완성된다는 것이다.
실험군의 평균 도체중은 89.6㎏으로 대조구보다 0.7㎏, 전국 평균보다 4.1㎏ 무겁고 등지방두께도 21.6㎜로 대조구보다 1.3㎜, 전국 평균보다 1.4㎜ 두껍게 조사되었다.
또 표2에서와 같이 육질 1+등급 출현율은 실험구에서 21.2%로 대조구 2.1%, 전국 평균 6.3%보다 월등하게 높았고 1등급 이상 출현율도 75.2%로 가장 좋은 성적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세주 차장(축산물품질평가원 연구개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