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냉장유통 여부가 계란품질 판가름

시리즈기획 등급판정으로 본 수익향상기술 [14] 유통중인 계란의 품질은 어느 정도일까? <상>

기자  2010.09.08 10:06:27

기사프린트

 
집하장 품질관리도 계란등급 한 몫
철저한 냉장관리로 품질 유지해야


얼마 전 모 방송국의 소비자고발 프로그램에서 의뢰한 계란을 품질평가하기 위해 할란하는 과정에서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부화중지란, 부패한 계란을 발견하고 깜짝 놀란 적이 있다.
설마 이런 계란이 지금도 유통되고 있을까하는 의문을 가졌고 담당 PD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계란을 구매했고 이를 본원에 품질조사를 의뢰한 것이라고 했다. 당연히 폐기되어야할 그 계란이 어디로 유통되었을까 하는 의문은 그 방송국 9시뉴스를 보고서야 풀 수 있었다.
결식아동 급식, 공사현장 식당, 전투경찰 단체급식용 등 주로 사회적인 약자나 식품에 대한 선택권이 없는 곳에 쓰였다는 것이다.
2009년에도 모 소비자단체의 의뢰로 시중 유통 중인 계란을 수거하여 품질조사를 한 적이 있는데 그 때도 조사대상 계란의 40% 이상이 3등급으로 조사되었고 언론을 통해 알려져 상당한 진통이 있었던 적도 있다.
그렇다면 현재 유통 중인 계란의 품질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표 1>과 <표 2>는 금년에 시중에 유통 중인 계란의 35개 품목(수거 시 유통기한이 가장 많이 남아있거나, 생산일(등급판정일, 산란일, 포장일 등)이 가장 최근의 것 중에서 중량규격 및 브랜드가 동일한 제품을 수거)을 유통 형태별로 수거, 조사한 결과 치이다.
<표 1>과 <표 2>에서 시사 하는 점은 냉장판매 등급란이 품질등급 출현율이 높은 것은 집하장에서부터 품질을 관리(세척, 선별, 포장)하고 전량 냉장유통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냉장판매 비등급란이 냉장유통을 하였음에도 1등급 이상 출현율이 낮은 것은 집하장에서 품질관리 없이 출하하여 원란 자체 품질이 좋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같은 비등급란에서도 상온 판매한 계란의 80%가 3등급인 것은 집하장 관리가 안 되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온도에서 유통되어 품질저하가 빨리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계란은 집하장에서부터 품질관리를 철저히 하고 유통단계에서도 계란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냉장유통을 해야 한다.

서위석 차장 (축산물품질평가원 사업관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