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협 성명, 열악한 환경서 경쟁 양돈인 사지로 모는 격 SOC차원 축분뇨처리 등 ‘10대 요구사항’ 반드시 관철돼야 한ㆍEU FTA 발효시 가장 큰 피해가 우려되는 양돈업계가 ‘한·EU FTA 체결무효’를 주장하며 실질적인 양돈산업 생존대책의 조속한 추진을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양돈협회(회장 이병모)는 한ㆍEU 양국의 FTA 공식체결 직후 성명을 발표하고 이같이 주장했다. 양돈협회는 이번 성명에서 양돈산업 생존을 위한 10대요구 사항 등 ‘선대책, 후타결’이라는 양돈업계의 요구가 외면된체 세계 돼지고기 생산량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양돈강국 EU와 FTA 체결이 강행돼 국내 양돈인들이 사지로 몰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MSY 25두의 EU와 2배 가까운 생산성 차이를 보이고 있는 만큼 희망없는 내일에 평생 삶의 터전이었던 양돈장을 버려야만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는 것이다. 양돈협회는 그러면서 ’09년 양돈산업 생산액이 5조4천735억원에 달하며 한국 축산업의 기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는 ’20년 축산업 전체 생산액 증가율을 ’09년 대비 17%로 예상하면서도 양돈은 제자리걸음 수준으로 전망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구결과에 주목했다. 정부가 의도적으로 양돈산업 규모를 축소, 양돈업과 국민의 대표적인 단백질 식량을 포기하고자 하는 음모로 밖에 해석될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농경연은 최근 한·미, 한·EU FTA가 ’12년 모두 시행된다는 가정하에 오는 ’15년 양돈생산액을 4조5천420억원, 20년에는 4조8천940억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은바 있다. 양돈협회는 이러한 의혹을 해소하고 양돈강국 EU와 맞서 국내 양돈산업이 생존을 넘어 수출효자산업이라는 과거의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분뇨처리의 SOC차원 해결 △국가단위 종돈개량 체계를 통한 한국형 종돈 개발 △사료가격 안정기금 도입 △육질개선을 위한 냉도체판정 및 조속한 도축시설 개선 △전업농 보호를 위한 대행패커 대책 등 정부의 대책을 강력히 촉구했다. 양돈협회 이병모 회장은 이와관련 “국내 양돈산업이 와해된 이후 우리 소비자들에게 안전성이 검증된 수입축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보장할수 있을지 의문”이라면서 “우리의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 FTA 저지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