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처리장으로도 역부족…비상대책 요구
가축분뇨 해양배출 중단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해양배출 재개시 까지 FMD 사태와 동일한 비상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해당 양돈농가들 사이에 제기되고 있다.
당초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공공처리장이나 하수종말처리장을 활용하는 방안이 제기됐지만 현실적으로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이 내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미 가동되고 있는 공공처리장의 경우 가동률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는 만큼 많은 물량을 소화한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하수종말처리장도 현실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이 되기 위해서는 가축분뇨의 부하량을 최소 1만ppm까지 낮춰야 하지만 해양배출 양돈농가들이 보유하고 있는 고액분리기로는 그 수준을 맞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해양배출 양돈농가들은 최악의 경우 농가 자체매립을 한시적으로나마 허용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FMD 사태 당시 정부에서는 이동제한으로 인해 가축분뇨 처리가 어려워지자 농가시설을 최대한 활용토록 하되, 불가피한 경우 가축분뇨를 매립하고 이동제한이 보다 장기화되면 시장 군수가 공동매립지 또는 저장시설을 확보토록 한바 있다.
대한양돈협회 박창식 경남도 협의회장은 지난 6일 “중앙정부 차원에서 별다른 대책이 제시되지 않아 각 지자체와 이번 해양배출업계의 가축분뇨 일제 수거 중단사태에 따른 대책을 협의중에 있다”면서 “추석을 전후로 가축분뇨 대란이 불가피한 만큼 가축분뇨에 대해서 만큼은 FMD 사태와 같은 비상대책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양돈농가들의 요구가 관철된다고 하더라도 오랜기간 지속할 수는 없는 만큼 하루빨리 이번 사태를 수습할수 있는 정부 차원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