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선지급금 기준 보상엔 난색

FMD 살처분 보상금을 둘러싼 경기도 파주 연천 양주지역농가들의 집단반발 사태가 새로운 국면을 맞게됐다.
경기도가 일부 요구에 대한 수용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추석 명절을 맞은 이들 농가들에게 한가닥 희망의 불꽃이 되고 있다.
파주 연천 양주 FMD 살처분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7일 대한양돈협회 이병모회장, 정선현 전무이사와 함께 의정부 소재 경기도2청사를 항의 방문, 예창근 행정2부지사, 임종철 경제농정국장과 잇따라 협상을 갖고 납득가능한 살처분 보상을 촉구했다.
지역농가들을 비롯해 양돈협회 경기지역 임원, 서울경기양돈조합 이정배 조합장 등 100여명의 청사앞 시위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속에서 비대위는 우선 선지급금 기준대로 두당 평균 32만~35만원의 보상금 지급을 경기도측에 요구했다.
지난해 12월 살처분이 이뤄진 파주시의 경우 32만원을, 연천군의 경우 35만원을 기준으로 두차례에 걸쳐 각각 70%의 선지급이 이뤄졌지만 최종 정산결과 두당 26만원에 불과, 가뜩이나 시름에 빠져있는 살처분 양돈농가들을 두 번죽이는 결과를 낳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당초 제시했던 기준대로 나머지 30%의 보상금 지급이 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경기도 차원의 모돈 재입식 자금 지원도 요구했다.
최근 모돈가격이 살처분 당시보다 2배가까이 상승, 현재 보상비로는 재입식이 어려워 살처분 농가의 재활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이와함께 해당지역 농가들에 대한 각종 정책자금 우선 지원을 촉구했다.
경기도는 이에대해 양돈농가들이 어려운 현실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선지급금 기준대로 보상요구는 현실적으로 수용하기 어렵다며 난색을 표출했다.
그러나 모돈 재입식 자금 지원과 정책자금 우선지원 등의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적극 검토하겠다며 전향적인 입장을 보였다.
임종철 국장은 시위대를 찾아 비대위와의 협상 결과를 설명하면서 “타지역에 비해 보상금이 낮게 책정된 부분이 있다면 실태파악을 통해 보상 기준내에서 불이익이 없도록 조치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비대위측은 16일 수원의 경기도 본청앞에서 2차 집회를 갖기로 하는 등 자신들의 요구가 관철될 까지 생존권 사수를 위한 투쟁을 지속해 나간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