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영란 기자]
서규용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지난 19일 낙농문제와 관련, 내년부터 원유 가격연동제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한우문제와 관련해서는 한우고기 반값 공급과 암소 자율 도태 등 현재 추진하고 있는 정책으로도 소값이 안정되지 않으면 농안기금을 투입해서라도 소값을 안정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농협과 관련, 사업구조개편에 따른 부족자본금 지원을 위해 기재부에 4조6천3백억원을 요구해 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서 장관은 이날 농림수산식품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낙농대책, 한우값 안정대책, 농협 사업구조개편에 따른 부족자본금 지원 등에 대한 여야의원들의 질의에 이같이 답변했다.
서 장관은 김성수 의원(한나라, 양주·동두천)의 연동제 시행 등을 포함한 특단의 낙농대책 마련에 앞서 통계청에서 조사하는 생산비와 감가상각 기준이 중요하다면서 이를 토대로 연동제를 시행하는 만큼 낙농가가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연동제 시행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자 T/F를 구성해서 생산부터 유통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를 점검해서 내년부터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서 장관은 조진래 의원(한나라, 경남 의령·함안·합천)으로부터 소값 안정대책을 마련하라는 요구를 받고 10월부터는 암소에 대해서만 반값으로 공급할 계획이라면서 이런 정책을 추진하고도 소값이 안정되지 않으면 농안기금을 투입해서라도 소값을 안정시키겠다고 답변했다.
서 장관은 류근찬 의원(자유선진당, 충남 보령·서천)이 농협 사업구조개편에 따른 부족자본금 지원을 농협이 요구하는 6조원선에서 이뤄지지 않으면 신경분리 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자 경제분야와 교육지원분야에 4조6천3백억원이면 될 걸로 판단하고 기재부에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서 장관은 조진래 의원과 김학용 의원(한나라, 경기 안성)으로부터 내년부터 가축분뇨 해양투기 전면 금지를 할 수 있는 여건이 되어 있느냐며 재검토하라는 질문을 받고, 가축분뇨 공동처리장 69개소중 38개소가 가동중에 있는데 금년내 최대한 가동하면 문제가 없을 것이라면서 예정대로 시행할 뜻을 밝혔다.
서 장관은 신성범 의원(한나라, 경남 산청·함양·거창)이 항생제 오남용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수의사 처방전을 도입해야 되지 않겠냐는 요구에 수의사 처방전의 필요성에 공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