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 산업 안정대책 촉구 탄원서 제출도
생산자 “정부와 정책 조율…농가피해 없어야”
유업체가 울고 있다. 정부의 강력한 물가정책에 따라 인상된 원유가격을 제품값에 반영하지 못해 적자가 눈덩이처럼 쌓이고 있기 때문이다.
유가공업계는 지난 7일 유가공산업 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농림수산식품부에 제출했다.
특히 유가공업계는 특단의 대책을 세워주지 않을 경우 낙농가들에게 인상된 유대의 지급 유보까지 고려하고 있다며 낙농가들을 볼모로 삼기도 했다.
유가공업계는 유대인상분에 대한 지급 유보 등을 재검토할 것이라는 것을 낙농육우협회에 공식 통보하기 이르렀다. 유가공업계가 이 같이 나선 것은 유대 인상후 유가공업체들의 경영난이 그 만큼 심각해 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우윳값을 비롯해 치즈, 컵커피 등 가격 담합으로 인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부과받은 과징금도 유업체들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난 8월 16일 이후 기본원유가 130원 인상과 체세포 2등급의 인센티브 상향 조정에 따라 유업체들이 낙농가에게 지급해야 할 원유가가 크게 올랐지만 이를 제품값에 반영시키지 못하고 있어 이를 고스란히 유업체들이 떠안고 있다.
실제로 원유가 인상 이후 주요 유업체들은 하루 1억원에서 3억원까지 손실을 입고 있으며 이 같은 상황이 연말까지 지속될 경우 손실액은 1천억원이 넘을 것이라는 것이 유가공업계의 분석이다.
이에 따라 유가공업계는 “2008년 이후 모든 물가가 인상됐지만 유가공업계는 가격 인상을 억제해 왔으며 최근 기본원유가 인상으로 인해 경영에 어려움이 더욱 커졌다”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8월 농식품부 장관과의 간담회시 연말까지 제품가격 인상을 억제해 줄 것을 요구했으며 업체들의 손실을 보전해 주기 위해 2012년도 유제품 추가 할당관세, 시설자금 지원 등을 약속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농식품부에서 구체적인 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어 불가피하게 유대의 지급 유보와 같은 조치를 취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때문에 유가공업계는 내년도 수입 유제품의 할당관세 도입과 같은 손실보전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 줄 것을 촉구했다.
유가공업계의 이 같은 입장에 대해 낙농육우협회는 유업체들이 극단적인 선택을 할 경우 사태가 심각해 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낙농가들이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 줄 것을 촉구했다.
낙농육우협회는 지난 11일 정부와 유가공협회에 “정부와의 정책 조율이 미진한 부분을 일방적으로 생산자단체에 통보하는 것은 이해 할 수 없다”며 “사태해결을 위해서는 유가공업체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우선되야 하며 극단적인 방법이 동원될 경우 더 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그러면서도 낙농육우협회는 정부에 “유가공업체들이 경영난을 이유로 유대인상분을 반영시키지 못해 사상초유의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할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낙농가들에게 전가될 것”이라며 낙농가들에게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원만한 해결책을 내놓을 것을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