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도 난감 …인상폭·시기 막판 조율 관측도
유업체와 정부가 우유값 인상 관련 인상율과 인상시기를 놓고 밀고 당기기를 거듭하고 있어 어떻게 결정될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선 유업체들은 지난 8월 기본원유가 인상 후 두달 가까이 제품값을 인상하지 못해 인상된 원유가에 대한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고 가고 있어 시간이 흐를수록 부담은 커질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이달 중 제품 값 인상시기와 인상폭을 놓고 저울질 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08년 인상당시 제품값을 인상하면서 담합행위가 적발되면서 공정위로부터 과징금을 부과 받은 경험이 있어 제품값을 동시에 인상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더욱이 유업체들은 지난 7일에는 정부에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하면서 낙농가들에게 인상된 원유가의 지급을 유보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배수의 진을 치고 있다.
목이 타는 유업체와 달리 정부는 물가 인상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우윳값 인상을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다.
하지만 정부도 유업체들의 요구를 언제까지 외면할 수는 없을 전망이다.
때문에 정부와 유업체간 인상시기와 인상률을 놓고 막판 조율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관측이 흘러나오고 있다.
실제로 최근 몇일 사이 1위 우유업체인 서울우유가 구체적인 인상시기와 인상율까지 제시하면서 이 같은 관측의 설득력을 더욱 높여주고 있다.
이처럼 정부와 유가공업계가 밀고 당기기를 거듭하고 있는 사이 이를 바라보는 낙농가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유가공업계에서 제품값을 인상하지 못할 경우 인상된 원유가의 지급을 유보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유가공업체들이 원유가 지급을 유보할 경우 정부와 유가공업체간 기싸움의 불똥이 낙농가들에게 까지 튈 경우 제품값 인상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때문에 업계 관계자들은 유업체들도 너무 과도한 인상은 자제해야 하지만 시장경제체제에서 정부가 무조건 제품값 인상을 막는 것도 잘 못이라며 적정 수준에서 인상돼야만 유업체들은 물론 낙농산업이 안정을 찾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