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권영웅의 유럽동물복지 탐방기(중-2)

계사 내 충분한 운동공간 확보…일정시간 방사도

기자  2011.10.24 16:32:42

기사프린트


한국형 동물복지 육성’ 선택 아닌 필수


5. 할인점

테스코와 세인스베리 등 중저가 할인마켓을 방문했다. 매장 특징은 대부분 24시간 영업하며 전반적으로 국내 하나로마트와 유사한 구조였다.

영국 소비자들의 구매동향을 보면 대부분 동물복지에 관심이 많고 일부에서 Freedom Food 제품 매진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매년 매출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소비자 4명 중 3명이 Freedom Food 축산물에 지지를 보내고 있으며 더 좋은 조건의 축산물 구입을 위해 추가 지불 의사도 있다고 한다. 

축산물 및 농산물 코너에 다양한 친환경 상품, 동물복지 축산물 등이 많이 진열되어 있으며 organic 제품도 많고 그 대상도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양고기, 우유, 치즈, 계란, 요구르트, butter, 햄, 소시지 등 전 축산물의 범주에 넓게 퍼져 있었다. 가격은 제품과 축산물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오가닉과 동물복지 형태의 제품이 고가로 판매되고 있었다.

네덜란드에서 들린 할인점 등 대형마트에서도 녹색마크를 취득한 축산물과 농산물의 매대 진열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6. 사육현장

가. 네덜란드 산란계 농장

당초 낙농업을 경영하다가 투자대비 경제성이 낮아 매년 시장이 성장하는 유기농 축산물 생산 시장으로 눈을 돌려서 사육규모 1만2천수를 키우는 전업농이다. 관리인원은 농장주 1명이며 농장청소, 계분처리 등 작업량이 많을 경우 외부인력을 한시적으로 고용한다. 사육형태는 Free range 형태로 4개 그룹으로 관리(1개 그룹 3천수 규모)되고 있고 자동급이와 자동급수 시설이 되어 있다. 최소 하루 8시간 방사를 하고 있으며 계분 수거는 주 1회하며(계분처리는 연 2회 외부에 위탁) 산란율은 94%이고 1일 2회 소맥을 운동장과 바닥에 뿌려주어서 플린트 대용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집란은 계사 내 컨베이어벨트에서 흘러나온 계란을 수거해 GP센터로 이송해 선별 후 출하하고 있다. 자금 지원을 희망하지만 정부는 소비홍보 등 캠페인 등을 통한 간접지원만 하고 있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가공용 제외) 모든 계란은 코드 마킹으로 계란 안전성과 불량계란 발견 시 추적시스템을 구축해 놓았다. 모든 계란의 난각에 사육형태, 생산국가, 농장명, 계사명 표시해야 한다. 계란에 마킹을 하는 장소는 유럽 내 국가별로 자율 결정하지만 농장 내 마킹 국가는 네덜란드, 독일, 벨기에, 프랑스, 스위스 등이고 집하장내 마킹국가는 영국, 스페인, 이탈리아 등이다.

나. 스위스 산란계 농장

산란계와 비육우를 동시에 하고 있었으며 관리인원은 2명, 사육규모는 비육우 150두, 산란계 1만8천수(Free-range 형태 사육)였다. 

농장구조는 네덜란드 농가와 다소 상이하나 기본적으로 산란계가 급수, 급이에 부족함이 없도록 되어 있고 운동공간과 산란함이 별도로 되어 있으며 횟대 등이 설치되어 산란계 고유의 의식주 활동을 그대로 인정해주는 형태였다.

사양관리방법은 하절기는 야외에서 방사를 하고 동절기는 계사 내 실내 운동공간을 활용하고 있었다. 은행으로부터 25년 장기융자(이율 2.5%)를 받아 시설 및 경영자금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계란유통의 마진구조는 국내와 같이 할인점에서 30% 내외의 마진을 취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스위스 산란계 농가 70%는 free-range이며 30%는 방목장은 없으나 계사 내 운동공간을 보유하고 있다. 20%의 산란계 농가들이 organic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80%는 농가당 1만수 규모로 타 축종과 같이 사육을 하고 있었다. 오가닉 생산방식의 경우 농가당 최대 2천수 사육으로 제한한다. 대부분 계란표시는 사육형태에 따라 organic(0), free-range(1), 케이지 없고 방사없는 것(2), 케이지사육(3) 등을 앞에 표시하고 다음으로 농장번호, 생산일자 등을 표시한다. 20년 전부터 케이지 없이 사육하고 있었다.

또 다른 산란계 농장은 organic 방식으로 유색계와 백색계를 혼용해 2천수를 사육하고 있었고 계사형태는 500수를 기준으로 4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사육밀도는 8수/㎡ 이고 일출 후에는 야외에서 방사를 하고 겨울에 유기농 통옥수수를 급여하고 산란율은 90∼95%(폐사율 7∼8%)이고 사료가공 형태는 mesh이고 급수를 위한 니플은 사용치 않고 계란을 세척하지 않고 오염물은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정리하고 있었다.

스위스내 organic 계란의 시장점유비는 20%이며 점차적으로 증가추세에 있고 우유는 7∼8% 수준이었다. 

<농협중앙회 축산지원부장>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