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피해 호소사례 늘어…유사산·자돈위축 피해
PED도 위협…후보돈 관리·차단방역 철저
겨울철이 다가오면서 일선 양돈현장에 PRRS가 고개를 들고 있다.
양돈농가와 수의사 등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PRRS에 의한 임상증상 피해를 호소하는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온이 떨어지기 시작하자 어김없이 양돈현장의 ‘복병’ 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KEPC 최지웅 수의사는 “환절기를 거치면서 모돈의 유사산 피해를 입거나 자돈상태가 좋지 않은 양돈농가들이 늘고 있다”면서 “진단결과 PRRS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는 사례가 상당수”라고 전했다.
PRRS가 어느 새 국내 양돈장의 상재질병화가 돼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FMD 이후 생산성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어온 해당농가들의 우려는 커져만 가고 있다.
경기도의 한 양돈농가는 “다행히 살처분은 면했지만 FMD가 지나간후 모돈의 번식성적이 크게 떨어져 있는 상태인데다 후보돈 역시 F2(비육돈 암퇘지)로 충당, 예년과 같은 생산성은 기대하지 않았다”며 “하지만 PRRS가 문제를 일으키기 시작한데다 FMD 백신 스트레스까지 겹쳐 당초 예상보다 훨씬 더 생산성이 악화돼 가고 있는 상태”라고 털어놓았다.
더구나 사료값 인상으로 생산비 부담은 높아진 반면 최근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는 하지만 돼지가격 전망은 불투명, 이래저래 걱정만 쌓여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이에따라 올 겨울철 그 어느 때 보다 세심한 농장관리와 방역대책을 양돈농가들에게 주문하고 있다.
최지웅 수의사는 “PRRS 뿐 만 아니라 PED를 비롯한 설사병, 흉막폐렴도 심상치 않다”며 “격리와 순치 등 후보돈에 대한 관리와 올인-올아웃, 그리고 철저한 차단방역만이 피해를 막을수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