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박멸위, FMD 여파…청정화 확인단계 연장 불가피 판단
야생멧돼지 항체확인 감안…‘2018년 달성’ 계획수정 건의
오는 2015년 예정됐던 돼지열병 청정화 달성시기가 2018년으로 3년 늦춰지게 됐다.
돼지FMD·열병박멸대책위원회(이하 박멸위)는 지난 11일 제3차 회의를 갖고 돼지열병 청정계획 수정을 정부에 공식 건의키로 했다.
청정화 확인단계를 현행 2년(2011~2012)에서 5년(2011~2015년)으로 연장해야 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이에따라 돼지열병 청정화는 당초 계획에서 3년이 늦춰진 오는 2018년이 돼야 기대할 수 있게됐다.
박멸위의 이같은 방침은 FMD발생 여파로 인해 앞으로도 2~3년 이상 지속적으로 예방접종이 이뤄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이 배경이 됐다.
백신항체가 95% 이상 유지되고 있는데다 2년간 비발생(2010~2011년) 조건을 갖추긴 했지만 최근 야생멧돼지로부터 항원과 항체가 확인됐다는 점도 작용했다.
여기에 향후 개정이 예상되는 OIE의 돼지열병 위생규약을 감안, 백신접종 청정국 지위 획득을 추진하고 중국과 북한 등 주변국의 발생 상황이 안정되면 백신비접종 청정국 지위 획득을 추진하는게 바람직하다는 판단도 청정화 계획 수정을 요구하게 된 요인이 됐다. 한편 박멸위는 돼지열병 항체가가 안정된 만큼 현장여론 등을 감안, 현행 2회로 규정돼 있는 돼지열병 예방접종 회수를 1회로 줄여줄 것도 건의, 그 수용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