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도축장 위생관리 강화대책 비현실적”

축산물처리협, 농식품부 항의방문…건의문 전달

김은희 기자  2011.11.21 10:37:50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은희 기자]
“선진국 수준 설비·시설기준 정비 등 실정 맞지 않아”

도축업계 종사자들이 단단히 뿔이 났다. 정부의 도축장 위생관리 강화대책에 현실성이 결여됐다는 이유에서다.
한국축산물처리협회(회장 김명규)는 지난 8일 긴급협의회를 개최한데 이어 지난 16일 농림수산식품부를 항의 방문했다. 이날 도축업계 대표들은 농식품부 박철수 소비안전정책관을 만나 도축장 위생관리대책과 관련해 강력하게 항의하는 내용을 담아 건의문을 전달했다.
이날 정부에 건의한 내용은 ▲축산물위생심의위원회 재구성 및 안건 재심의 ▲축산물위생관리법 개정 보류 ▲비현실적인 도축장설비 및 시설기준 정비 반대 ▲도살·해체 전 도축장 분변제거 반대 ▲도축장 HACCP 운용평가에 소비자단체 참여 반대 ▲도축장 위생책임 강화에 지원 병행요구 ▲검사관 확충 잠정보류 ▲검사관 긴급명령권 도입반대 등이다. 
이날 참석한 처리협회 이사들은 도축장 대표를 포함해 축산물위생심의위원회를 다시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도축장 위생관리 강화대책과 축산물 HACCP 활성화대책의 재심의를 요구했다.
특히 한국현실에 맞지 않는 선진국 수준의 도축장설비 및 시설기준 정비도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 이유에 대해 처리협회 이사들은 현행 냉수 세척이 스팀세척, 스팀진공호흡, 유기산제제보다 안전한 방법인데 이를 무시한 채 선진국을 무조건 따라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선진국의 경우 지하수에 석회성분이 포함돼 지육세척수로 그대로 사용하는데 부적합하고 정수비용이 많이 들어 물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흡입시설을 도입하고 있지만 병리학적으로도 한국 도축장들이 사용하는 방식인 물에 의한 소독이 가장 안전하다는 의견이다. 또 부산물처리장을 지상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반드시 교차오염과 악취제거 방안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작업 전에 도축장의 분변제거를 해야 한다는 것도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책임 떠넘기기 성격이 강하다고 지적했다. 선진국의 경우 출하 13시간 전부터 절식하고 분변제거를 법제화 한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그대로 출하하고 있는 상황에서 절식과 분변제거 책임을 도축장에 전가한 것이라는 의견이다.
김명규 회장은 “민간기업에 공무원인 감독관을 배치해 모든 작업 및 위생을 지시하고 평가하고 처분하는 등 온갖 규제를 하려면 차라리 국가가 모든 도축장을 인수해 운영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