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통합학교급식 확대…산업 안정대책으로”

우유급식, 원유 안정적 수요처…급식률 확대 절실

이희영 기자  2012.01.11 09:34:50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희영 기자]
수익성 없어 유업체 기피…납품가격 현실화 시급

서울시를 비롯해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이 학교우유급식과 학교급식을 통합 운영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산 원유의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통합학교급식을 보다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학교우유급식률이 50% 수준에 머물고 있어 이를 더욱 확대할 경우 현재 14만7천톤인 급식우유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성수기와 비수기를 감안해 학교우유급식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배 이상의 생산기반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FTA시대 낙농산업 안정을 위한 대책으로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학교우유급식과 학교급식을 통합운영하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우선 급식단가가 시중 판매가격에 비해 턱없이 낮아 유업체들이 학교우유급식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또 유상급식과 무상급식으로 이원화로 운영되고 있는 학교우유급식은 일선 학교의 담당자들의 업무가 과도한 것도 학교우유급식을 확대하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학교우유급식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우유급식 납품단가의 현실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기본원유가격 인상 이후 학교우유급식 단가를 조정하지 못한 유업체들은 수익을 내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원가는 보장해 줘야 학교우유급식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때문에 최근 농림수산식품부와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청 등이 참여한 협의회에서 올해 학교우유급식 단가를 조정키로 하고 최종 승인 절차만 남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울러 학교우유급식에 대한 일선 학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해 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서울시의 경우 지난해부터 초등학교 전면 무상급식을 실시하면서 우유도 급식품목에 포함시켜 이러한 과외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사례는 광역단체 중에서는 서울시가 유일하며 시군 지자체 중에서는 경기도와 경북 등 일부 시군에서만 시행하고 있어 통합급식의 확대가 절실한 실정이다.
또한 우유급식을 학교급식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방자치단체의 의지가 중요하며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실제로 올해 학교우유급식 단가를 상향 조정하면서 서울시의 경우 우유급식 단가의 상향 조정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반대하지 않지만 우유단가가 상승할 경우 추가 예산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단가를 상향 조정할 경우 다른 식자재 단가를 절감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우유급식이 학교급식과 통합운영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의지와 함께 중앙정부차원에서의 지원방안이 마련되야 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