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협·축단협, 정부 캐나다산 쇠고기 수입 결정 철회 성명
“농가 생존권 묵살한 국익, 명분 있나”…강경투쟁 불사 천명
전국한우협회(회장 남호경)가 최근 정부의 캐나다산 쇠고기 수입결정에 따라 반대 성명을 발표하고 강한 불만의사를 밝혔다.
협회는 지난 20일 정부의 캐나다 쇠고기 수입 관보 개재와 관련해 “어제는 한우소비를 외치고, 오늘은 수입쇠고기 빗장을 푸니, 우리 농가는 누구를 믿고 축산업을 영위해야 하냐”고 밝혔다. 또한, “정부에서는 앞으로는 한우가격 폭락에 따른 특단의 소비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대대적인 광고와 홍보를 하면서 뒤로는 캐나다산 쇠고기 수입재개를 준비해 왔다”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아울러 향후 발생하는 소 값 하락에 대한 책임은 분명 정부에 있으며, 쇠고기 개방을 졸속으로 진행한 정부의 책임을 끝까지 묻고 강경 투쟁도 불사할 것임을 밝혔다.
축산관련단체협회의회(회장 이승호)도 즉각 성명서를 통해 캐나다산 쇠고기 수입재개를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축단협은 “지금 현장에서는 소 값, 송아지 산지가격 폭락으로 생산비 조처 건지지 못해 줄도산을 하고 있는 마당에 FTA도 모자라 캐나다 쇠고기까지 수입을 하겠다는 것은 국내 축산 농가를 사지에 몰아넣고 있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국회에서도 캐나다산 쇠고기 수입위생조건안의 심의결과 보고서에서도 캐나다는 BSE 상시 발생국으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고 축산농가의 어려운 현실을 감안해 현 시점에서 수입은 적절치 않다는 반대 입장을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입위생조건을 고시해 수입 재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축단협은 “FTA, 쇠고기 수입확대, 사료 값 폭등을 방치한 정부로 인해 축산 농가들의 피해가 나날이 커지고 있는 이 시점에 과연 캐나다산 쇠고기 수입재개가 정말 필요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소 값 안정대책은 뒷북 내지 무대책으로 일관하던 정부가 국익을 위해 캐나다산 쇠고기 수입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고 애써 변명하고 있으며 축산농민을 사지로 내몰고 국민들을 BSE 쇠고기의 위험에 노출시킨 채 얻을 수 있는 국익이 과연 무엇인가”라고 반문했다.
더욱이 “축산농가의 생존권을 무리한 요구로 국민들에게 홍보하면서 쇠고기 수입을 확대하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벼랑 끝에 내몰린 우리 축산농민들은 생존권과 국민 건강권을 놓고 최후의 저항을 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