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은희 기자]
FTA 시대 소비자가 원하는 안심축산물 유통 요건
육우·브랜드 홍보·가격 안정화 시급 지적

한국축산식품학회(회장 정구용·상지대 교수)는 지난 22일 농협중앙회 서울지역본부 대강당에서 ‘FTA 시대 소비자가 원하는 안심축산물 유통’ 심포지엄<사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축산물 유통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전망과 축산업의 미래 발전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구용 회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진행된 심포지엄에서 농촌경제연구원 정민국 실장은 ‘축산물 가격동향과 전망’, 농림수산식품부 이천일 축산정책과장은 ‘축산업 발전방향’에 대해 주제발표를 했으며, 소비자연맹 이향기 부회장, 농협중앙회 김홍원 부장, 한국육가공협회 육가공기술분과 유호식 위원장, GS리테일 조남욱 부장이 토론자로 나섰다.
지정토론에서 김홍원 부장은 “국내산 육우는 수입산 쇠고기의 품종과 같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떨어져 판매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소비자의 구매의식을 적극적으로 바꿔 좋은 품질의 쇠고기를 저렴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향기 부회장은 “산지와 소비지 현장의 가격연동이 이뤄지지 않아 소비자들이 축산물에 대한 불신을 갖고 있다. 수요와 공급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한 때이다. 또한 축산물 브랜드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쇠고기의 권장유통기간에 대한 명확한 지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남욱 부장은 “GS리테일이 분기별로 리서치를 해본 결과, 축산물에 대한 불만내용 중 가격의 등락폭이 크고 품질이 일정치 않다는 점을 꼽았다”며 “유통업체가 나서서 축산물의 품질개선과 차단방역문제, 생산비를 어떻게 절감할 건지에 대해 생산농가 지원책도 쓰고 있다”고 소개했다.
유호식 위원장은 "식육판매장에서 즉석식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식품판매업 외에도 즉석식품판매업에 대해서 허가를 받아야 한다. 허가기관을 일원화해 종사자들이 기술 터득 후 햄소시지, 돈가스 등 전체적인 저지방부위에 대한 고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