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대다수 신약 특성상 임상실험 등 큰 부담” 호소
항생제 대체시장 기대주 불구 보조사료와 차별화 관건
동물용 생약. 불과 2~3년 전만해도 수출과 함께 동물약품 미래를 이끌 양대 축으로 각광받았다. 내수시장 포화는 수출에서 대안을 찾고, 불황에는 생약이 돌파구라고 떠들어 댔다. 하지만, 희비는 완전 엇갈렸다. 수출이야 지난해 1억달러를 수출하는 등 승승장구하고 있지만, 생약은 앞으로 한발짝도 못나갔다. 오히려 뒷걸음질 쳤다.
지난 2009년 12월 30일 ‘생약제제 동물용의약품 허가기준’이 시행됐으니 벌써 2년하고도 수개월이 흘렀다. 하지만, 국내에는 동물용 생약이 하나도 없다. 시장규모는 당연히 ‘O’이다.
생약 허가기준은 있으나 마나한 애물단지가 돼 버렸다. 도대체 왜 그럴까. 동물약품 인허가 당국은 “업계 요청에 의해 생약 허가기준이 만들어졌다. 쉽지 않은 과정을 거쳤다. 하지만, 업계는 언제 그랬냐는 듯 관심이 없다. 외면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업계 역시 이유있는 볼멘소리를 한다. 생약 허가기준이 일반 약품보다 간소화됐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생약허가 받기는 ‘하늘의 별따기’라고 하소연한다.
생약은 대다수가 신약이기 때문에 각종 임상실험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거기에다 천연제제여서 성분함량 등을 일정수준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설명한다.
시장 분위기도 생약에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식품안전 트렌드, 무항생제 축산 등은 생약 활성화의 기폭제가 될만 했다. 하지만, 생약이 비집고 들어갈 틈은 좁았다. 농가들은 생약 대신 보조사료를 끄집어들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물약품 업체들은 굳이 비싼 돈을 써가면서 생약으로 허가를 받아야 하느냐고 반문한다. 힘들게 생약 허가를 받았다고 해도, 농가들이 선뜻 생약을 선택할 지도 의문이라고 말한다.
생약은 인체로 치면 건강기능식품이다. 건강기능식품은 우리 생활 속 깊이 자리잡으며 없어서는 안될 생활필수품이 됐다. 생약도 가능성은 있다.
업계는 생약이 정부로부터 안전성과 유효성을 인정받은 약품이라고 알리고 차별화하면 된다. 동물약품 인허가 당국 또한 기준을 현실에 맞도록 보완해 업계 참여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