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사료값 30% 절감 기대…농식품부 “제안시 긍정 검토”
이병모 대한한돈협회장이 외상사료 의존 양돈농가를 OEM 또는 공동구매 형태로 전환, 사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정부에 제안할 계획이라고 밝혀 그 실현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병모 회장은 최근 본지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한-EU에 이어 한-미 FTA까지 발효된 상황인 만큼 거시적인 생산비절감 대책만으로는 부족하다”며 “협회 차원에서 짧은 시간내에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몇가지 대책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사료비 절감대책의 경우 전담직원까지 배치, 구체적인 추진방안까지 어느 정도 마련된 단계인 만큼 정부 방침만 서면 당장 하반기부터 착수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에 사료를 구입할 수 밖에 없는 외상사료 사용농가를 최대한 줄이는 방법으로 돼지 생산비를 낮춰보자는 게 그 골격이다.
이병모 회장은 “그간 협회 자체적으로 양돈농가의 사료비 조사에 나선 결과 외상사료 사용 농가의 경우 OEM 및 공동구매에 비해 25~30% 정도 높은 가격에 사료를 구입해온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는 사료구입 형태를 바꾸면 그만큼 생산비를 낮출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외상사료 농가들의 경제적 능력을 감안할 때 이 사업은 정부 지원없이는 불가능하다는 분석이다.
한돈협회측은 사료비 절감 효과를 감안할 때 해당농가는 1년 정도면 외상사료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아직 공식화되지는 않았지만 정부가 외상사료 농가들에게 2~3개월간의 사료비를 저리로 융자해 주면, 6개월간은 이자만 내고 이후 6개월후 부터는 원금을 상환토록 한다는 뜻에서 (가칭) ‘6·6 프로젝트’로 명명된 것도 이 때문이다.
이병모 회장은 “희망농가, 특히 OEM이나 공동구매 등 단순히 외상사료를 쓰지 않는다는 수준을 넘어 사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는 구체적 계획을 가진 농가에 한해 정부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이들 농가에 대해서는 현물담보 등 파격적인 담보조건이 제시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대해 정부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노수현 농림수산식품부 축산경영과장은 “외상사료의 폐해와 농가 현실을 감안할 때 사료안정기금 보다는 훨씬 현실적인 방법인 것 같다”며 “한돈협회로부터 정책제안이 들어올 경우 적극 검토해 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