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급증한 생산비 농가 위협…맛으로 승부를

천하제일사료, 창립 50주년 기념 ‘한우 심포지엄’…산업 전망 공유

기자  2012.04.16 10:00:30

기사프린트

천하제일사료(총괄사장 윤하운)가 17일로 창립 50주년을 맞는다. 이에 따라 천하제일사료는 축종별로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축산업 발전을 위한 정보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지난 6일 대전 유성관광호텔에서 약3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우 심포지엄’<사진>을 열고, 한우산업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이은주 부장(비육우 PM)은 ‘한육우 현황과 전망’, ‘제6회 상상이상 출하경진대회 성적소개 및 시상식’을 진행했다. 이어 조철훈 교수(충남대)의 ‘동물성 식품에 대한 오해와 진실’이라는 발표를 통해 쇠고기가 건강에 유익하다는 것을 공유했으며, 일본 비육우 전문가를 초청하여 일본 비육우 사양관리 기술을 소개하는 시간도 가졌다.

원료가격 상승으로 생산비↑…세계 농가 적자 경영 
미국 사육두수 감소로 수입량 전년比 5~10% 줄 듯
국내산 신선도·안전성 강조…소비촉진 유도해야

<2012년 해외시황·한육우 현황과 전망> (이은주 천하제일사료 비육우 PM)

>>세계

-사육두수·소비량 감소
2012년 세계 쇠고기 생산량과 소비량이 2.3% 감소하고, 미국 2012년 1월 비육우 사육두수는 전년동월대비 2.1% 감소했다. 번식우 사육두수는 3.1% 감소했고, 앞으로 미국의 비육우 사육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

-수입 폭증…원료비 상승으로 농가 적자
미국 1월 쇠고기 수입량은 128.8% 증가한 반면 수출량은 95.6%로 4.4%감소했다. 사육두수 감소로 인한 쇠고기 생산량 감소로 수입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비육우 시세는 강보합세.  2012년 3월 기준 비육우 농가의 수익성은 비육우 시세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원료가격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상승으로 적자경영을 하고 있다.

>>호주

-사육두수·소비 증가
반면에 호주는 사육두수가 전년동기대비 5.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육두수 증가로 인하여 쇠고기 생산량도 증가하고 소비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재 호주 비육우 시세는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호주 쇠고기 수출량은 2월누계 전년동기대비 106.1%로 증가했으며, 특히 미국으로의 수출량이 179%로 크게 증가했다. 

>>일본

-미국산 수입 급증
일본은 2월누계 쇠고기 수입량이 전년동기대비 5.5% 증가했으며, 특히 미국산 쇠고기 수입량이 114.1%로 14.1% 증가했다. 미국산 수입량이 증가하는 추세다. 일본 비육우 농가도 생산비 증가 및 시세 하락으로 적자 경영을 하고 있으며, 정부 보조금이 지급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세계가 원료가격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상승으로 농장의 경영상태 좋지 않다.

>>한국

-생산량 5% 증가…시세 약강세 보일 듯
2012년 2월누계기준 한육우 도축두수는 149.7% 증가했다. 이는 2011년 FMD 영향이다.
또한 도체등급기준변경을 통한 육량기준 강화 및 소 값 하락으로 인해 한우 거세우 평균 도체중이 전년동기대비 4kg 감소하고, 수소 중 거세우 출하비율이 80.8%로 감소하고 있다. 
반면에 2월 누계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동기대비 104.2% 증가했다. 특히 갈비, 등심, 양지 수입량이 크게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갈비 수입량이 증가하면서 미국산 수입량이 늘어나 전체 수입량의 44.8%로 2월누계 기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2012년 한육우 사업의 기회요인으로 생산이력제, 음식점원산지표시제, 군급식 수입육 국내산 대체, 세계 경제 회복추세, 소비자의 신선도, 안전성, 맛 중시, 무상 학교급식확대, 온라인을 통한 판매확산, 각종 축산단체의 한우소비촉진행사 활성화, 쇠고기 수입량 감소, 미산 쇠고기 수입가격 상승, 쇠고기 품질에 따른 가격차이 심화 등을 꼽았다. 
위협요인으로는 세계 및 국내 경제 성장률 둔화, 유럽재정위기로 인한 환율불안, 고물가 지속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국제 유가 상승 및 세계곡물 재고율 하락으로 인한 국제곡물가격 상승, 부동산 가치 상승미미, 가계부채 증가, 한미 FTA 발효, 웰빙 중시로 인한 닭고기 및 오리고기 소비량 증가, 고기 뷔페 식당 증가를 통한 쇠고기 소비량 증가, 국제 원료가격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상승과 축산물 시세는 2011년 평균시세 대비 보합세 내지 약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된다.
2012년 한육우 사육두수는 2011년 인공정액 공급량 0.2% 증가, 한우암소도태 정책 및 시세하락으로 인한 암소도축증가, 사육기간 단축으로 인하여 2012년 사육두수는 290만두~295만두, 사육호수는 15만5천호~16만호, 국내산 쇠고기 생산량은 한육우 도축두수 증가로 인하여 3%~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에 쇠고기 수입량은 2011년 대비 5~10% 감소한 27만톤 ~28만5천톤이 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1인당 쇠고기 소비량은 9.0~10.0kg, 자급률은 44~ 46%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