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음수 소독만으로도 대장균 줄어…수익 향상

농협축산컨설팅 우수사례 【3】

신동길 기자  2012.05.09 09:59:14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신동길 기자]
‘Blue Gold’  
신동길 컨설턴트(대충양계조합)


가축음용수 수질개선 평균 산란율 8% 향상
3만수 농가 기준 연간 1억 이상 추가 소득


2012년 축산컨설턴트 정보교류대회에서 대전충남양계조합 신동길 컨설턴트는 ‘Blue Gold’라는 사례발표로 장려상을 수상했다. 발표내용을 요약해 소개한다.
현재 축산에 대한 인증제도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친환경(무항생제)축산물과 HACCP인증 제도이다. 이 두 가지 인증은 소비자들에게 보다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축산물을 제공한다는 의미이자 각오일 것이다. 인증 제도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질검사를 통해 가축에게 깨끗한 물을 먹이는지를 확인해야 하며 친환경농업육성법에 의거 생활용수기준의 수질검사 시험성적을 반드시 통과해야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물은 생명이 살아가고 또한 가축을 사육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컨설팅은 농장의 수질검사를 실시, 생활용수기준에 합격했지만 수질 내 질산성 질소(기준치 이하)가 검출되고 수질 내 대장균도 검출되는 경우를 확인하고 대장균에 오염된 물을 먹은 가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추론해 이를 해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컨설팅은 2011년 7월부터 10월까지 약 4개월간 진행했으며 전이용농가를 대상으로 비슷한 계군수의 농가를 선정했다. 현재 대부분의 농장은 지하수를 이용해 가축에게 급수하고 있으므로 지하수가 일부 오염됐다는 가정 하에 지하수 개발, 상하수도 연결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생각했지만 적지 않은 비용이 발생되고 비용대비 효과도 미약한 것으로 판단, 시중에 판매되는 음수전용 소독제를 이용해 물 자체를 소독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물론 휴약 기간이 없고 가축이 먹어도 안전한 소독제가 사용됐으며 농가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계사로 나눠 컨설팅을 진행했다.
컨설팅의 첫 번째는 수질검사로 시작했다. 농장 내 수질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지하수내 질산성 질소 및 대장균 검출이 확인됐다. 가축분뇨에 의한 오염으로 추정됐다. 수질검사 결과를 뒷받침하는 증거 확보를 위해 가축분뇨에 의한 오염원 규명 등 현장분석과 과학적 기법을 통한 객관적 사실 규명에 주력했다. 또 현장의 죽은 닭에서 대장균 검출유무도 확인했다. 급수기 파이프 내 오염정도 확인과 오염물 내 대장균 증식 여부도 확인했다. 확인된 오염물에 대한 과학적 기법을 이용한 대장균 검출 여부도 당연히 뒤따랐다.
과학적 기법을 동원한 분석 결과 컨설팅 초기 가설로 내세웠던 지하수 내 대장균 오염이 확인됐다. 대상농장은 특별한 질병의 소견이 없었으며 사양관리 또한 정해진 프로그램대로 잘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만성폐사(1일 평균 10수정도) 발생이 지속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산란율은 월평균 85%~87%대로 대체로 저조한 편이었다.
대장균은 체내에서 지속적으로 염증을 야기시키고 가축을 결국 폐사로 이르게 하는 원인균으로 농장 생산성 저하에 악영향을 끼치고 만성적 산란 저하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음수 소독이라는 방법을 선택했으며, 시중에 휴약 기간이 없고 가축이 먹었을 때 안전한 음수 전용소독제를 이용해 실험을 실시한 결과 급수시설 내에서는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개월 동안 지속적인 피드백 관리로 매주 폐사율, 산란율 및 약품사용 내역을 확인한 결과 1일 평균 10수에 이르던 평균폐사 수가 1일 2수 이내로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산란율 또한 평균 85%에서 92~95%대로 올라간 것을 직접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수익으로 분석해보면 폐사수에 의한 손실 671만원(산란계 5천500수, 4개월 평균 폐사 1천220수 기준)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계란 미판매 손실 1천741만4천원(4개월 13만3천956개 생산, 평균 시세 130원 기준)을 개선할 수 있었다. 성추 3만수 농장 기준으로 컨설팅 전 평균 산란율 85%이던 것을 컨설팅 이후 93%까지 약 8%만 생산성을 향상시켜도 연간 1억1천232만원(평균시세 130원 기준×30일×12개월)의 매출액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이는 평균시세를 적용한 추정치 이며 농장의 사육환경 및 사양관리 형태에 따라 생산성이 다르므로 오차가 있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음수 내 또는 급수장치 내 오염물을 정기적으로 소독하여 제거해준다면 기존 농장의 성적수익보다 훨씬 더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