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양돈업계 “5천원대 진입 얼마나 됐다고…” 분통
수직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돼지가격에 대한 정부 대책이 일단 도매시장 상장물량 확대에 초점이 맞춰졌다.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삼겹살 할당관세 수입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국내 양돈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최근 돼지가격이 급격한 오름세를 타며 지난주초부터 전국 도매시장 가격이 지육kg당 5천원대에 진입하자 긴급히 가격안정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국내산 돼지고기 소비자가격을 삼겹살 기준으로 kg당 1만8천원선에서 유지하는게 정부의 목표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기획재정부 등 정부 일각에서는 또다시 하반기 5만톤의 삼겹살을 무관세로 수입하는 방안까지 거론됐지만 양돈업계가 ‘절대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데다 관련부처 내부에서도 신중론이 대두되면서 유보된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수산식품부의 한관계자는 지난 25일 “(돼지고기 할당관세 수입은)아직 결정된 게 없다”며 “다만 도매시장 상장 물량 확대 등 돼지가격 안정을 위해 가능한 모든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무관세 수입을 제외한 정부의 직간접적인 시장개입이 이미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국내 양돈업계에서는 정부의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불만이 확산되고 있다. 하반기 대폭락이 예고된 상황에서, 일시적이나마 돼지가격이 고가에 형성되는 것도 용납할 수 없다는 식의 정부 방침은 한마디로 돼지를 키우지 말라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대한한돈협회의 한 임원은 “연중 최고가격이 형성된다는 시기임에도 생산비를 넘나들던 돼지가격이 이제야 제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추세”라며 “도대체 5천원을 넘어선지 며칠이나 지났다고 돼지가격 안정대책을 운운하지는 이해할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 돼지고기 할당관세 수입이 또다시 검토되고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정부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국내 육가공업체의 한 관계자는 “국내산 재고가 산더미인데다 이전에 할당관세 적용을 받아 들어온 수입육도 아직까지 소진되지 못한 상황에 무관세 수입이 거론되는 자체가 황당할 뿐”이라며 “하반기 시장전망을 감안하면 할당관세 혜택이 주어지더라도 수입하려는 업체는 찾아보기 힘들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전문가들도 돼지고기 수입의 경우 오퍼가 이뤄진후 국내 도착시까지 최소 두달 가까운 시간이 소요, 지금당장 할당관세가 이뤄진다고 해도 실제 시장 영향은 국내 공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7월 이후 본격화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더구나 이전에 할당관세 적용을 받은 수입 돼지고기의 시장 공급가격은 거의 변화가 없었던 만큼, 결과적으로 수입업체만 배불리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어서 향후 추이에 양돈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