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용 생약이 좀처럼 활성화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지난 2009년 12월 30일, 문턱을 낮춘 ‘생약제제 동물용의약품 허가기준’이 마련됐지만, 반응은 여전히 싸늘하다.
까다로운 허가기준·농가 인식 부재 큰 걸림돌
제도 시행 2년6개월 지났지만 허가제품 ‘전무’
정부·업계 생약시장 차별화 공동의 노력 필요
‘생약제제 동물용의약품 허가기준’이 시행된 이후 2년 6개월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생약으로 허가받은 제품은 하나도 없다.
물론, 시장 때문이다. 시장에서 수요가 있다면, 아무리 인허가 과정이 까다롭다고 해도, 동물약품 업체들은 생약 시장에 뛰어들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한 업계 관계자는 “농장에서는 생약이라고 해서 더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냥 이름만 바꾼 보조사료라고 여긴다. 업체 입장에서는 비싼 돈 들여가며 굳이 생약으로 허가받을 이유가 없다”고 잘라말했다.
생약은 무항생제 축산, 식품안전 트렌드 등에 보조를 맞출 무기가 된다. 생약기준을 만든 것도 보조사료와 차별화한 생약공급을 통해 가축생산성 향상을 이끌어내려는 의도가 깔렸다.
그렇다면, 이대로 놔둬서는 안된다. 기존 동물용의약품이나 인체용 생약기준 잣대를 들이댄다면, 앞으로도 생약활성화는 요원할 뿐이다.
생약은 인체로 치면, 건강기능식품이다. 건강기능식품은 약품과 식품 사이에서 충분한 역할을 해내고 있다. 생약도 마찬가지다. 의약품만을 고집한다면, 생약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다. 인허가 기준을 획기적으로 낮추어야만, 업계 참여를 이끌어내고, 가격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다.
농가에게는 정부로부터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증받은 제품이라고 생약을 적극 알려야 한다. 업체와 정부 노력이 뒤따라야, 생약 시장을 열어제낄 수 있다. 머리를 맞대고, 현실 속 대안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