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급증하는 닭고기 수입 ‘제동’걸자”

계육협, 닭강정 원산지표시 강력 단속 요구키로

김수형 기자  2012.06.11 09:56:25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불황 대비 입식조절 필요성 공감대 형성도

국내 계육업계가 일명 ‘닭강정’의 폭발적인 인기속에서 급증하고 있는 닭고기 수입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한국계육협회(회장 정병학)는 지난 5일 충북 진천 (주)체리부로 본사에서 회원사 사장단으로 이뤄진 통합경영분과위원회를 갖고 장기화 추세를 보이고 있는 불황 해소 및 수입대책 등 업계 현안을 집중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국내산 닭고기 가격이 생산비 이하에 머물고 있음에도 닭강정 제품이 치킨 시장을 급속히 잠식해가면서 그 원료육으로 사용되는 닭고기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실제로 올들어 수입된 닭고기는 지난 4월까지 4만3천237톤에 달하며 고병원성AI 발생에 따른 살처분 여파로 국내산 공급이 감소, 수입량이 크게 증가했던 전년동기 보다도 27%가 늘었다.
2년전과 비교할 때는 무려 62.1%가 늘어난 물량이다.
이들은 그러나 닭강정 판매점에서 원산지 표시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는 현실에 주목, 강력한 단속이 시급하다는데 입장을 같이했다.
따라서 소비자 보호를 위해서라도 계육협회 차원에서 원산지 표시 관리와 함께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수입육에 대한 위생점검도 정부에 요구키로 했다.
대한양계협회가 요구하고 있는 닭고기 도계일자 표시제에 대해서는 ‘수입육 차단’ 이라는 긍정적 기대효과는 인정하면서도 현재 상태에서는 국내 계육업계 역시 리스크가 클 수 밖에 없다는 분석에 따라 신중히 접근키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또 닭고기 생산잠재력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유럽발 경제위기로 인한 국내 경기침체와 소비감소의 여파로 불황이 지속될 가능성이 큰 만큼 각 계열화업체마다 입식조절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그러나 전적으로 계열업체 자율에 맡길 수 밖에 없는데다 신규진입 업체의 동참은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점에서 얼마나 성과를 거둘수 있을지 예단키 어렵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