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교배두수 차질시 시스템 붕괴 가능성
농장주 의지·직원교육 통한 능력 제고 필수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양돈장 그룹관리의 성패는 사전 세부계획 수립과 실천에 달려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양돈연구회 김준영 부회장은 지난달 26일 서울 서초동 제2축산회관에서 가진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의 ‘양돈장 그룹관리 실태조사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그룹관리 매뉴얼 개발과 적용사례 연구결과 발표회’<사진>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이번 연구용역을 담당한 김준영 부회장은 양돈현장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수 있는 그룹관리의 다양한 장점에 대해 설명했다.
다만 실질적인 효과는 현장에서의 세부적인 계획 수립과 그 적용이 ‘관건’임을 강조했다.
김준영 부회장은 “수용두수나 교배두수의 부족 및 과다가 발생할 경우 그룹관리 시스템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며 “성공적인 그룹관리는 농장주의 강한 의지와 함께 모돈규모, 시설면적, 인력현황 등을 꼼꼼히 챙기는 사전 계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그룹관리가 일정수준 이상의 관리능력을 요구하고 있는데 반해 국내 양돈 현장은 외국인 근로자 문제 등 다양한 애로사항이 상재하고 있는 만큼 농장별 직원 능력과 이해도 제고를 위한 교육이 필수적인 것으로 분석했다.
김 부회장은 이어 그룹관리시 주의점으로 ▲번식 및 비육시설 추가 필요 ▲그룹별로 전기 사용량 집중 ▲단기간의 인력투여 ▲교배관리, 모돈BCS(체평점) 관리 철저 등에 대해서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