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생산~유통 아우르는 관리시스템 개발 시급

■ 초점 /10월부터 시범사업…돼지이력제 어떻게 추진되나 (하)

김은희 기자  2012.08.09 09:44:42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은희 기자]

돼지이력제 전망과 과제는

농가, 관리 기록절차 단순화…참여도·정확성↑
가공·유통단계 늘면 추적 어려워…시스템 보완을
단계별 엄격한 관리…수입육 둔갑판매 차단해야


돼지이력제 도입을 위해 농림수산식품부는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현재까지 3차례 회의를 개최했다.
시범사업을 목전에 두고 있지만 실무자회의 참석자들은 여전히 돼지별 관리방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이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돼지이력제는 쇠고기이력제와 같이 개체단위가 아닌 농장단위별로 이뤄지다보니 각 단계별로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도 여전히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농장HACCP, 축산업허가제 등 갈수록 강화되고 있는 농장관리 기준으로 인해 가뜩이나 할 일이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돼지이력제가 농가들에게 과연 어떠한 수익을 가져다줄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참여율이 얼마나 높을지도 의문이다.
또한 도축장이나 유통업계, 소매점 등도 마찬가지로 도입시 만만치 않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돼지이력제에 얼마나 참여시킬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사육단계 

돼지이력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첫 단추인 양돈농가들의 자발적인 기록ㆍ관리가 선행되야 한다.
하지만 지금도 농장HACCP, 축산업허가제 도입, 가축전염병예방법 등으로 인해 기록해야 할 사안들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연 농가들이 지금 당장 수익과 직결되지도 않는 돼지이력제에 얼마나 관심을 보일지가 의문이다.
때문에 추진단계에서는 가능한 기록관리 서류양식을 용이하게 하고 절차를 줄여야만 농가들이 참여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또한 입력 방식도 최신 스마트폰이나 바코드 입력기 등을 통해 간편하게 입력하는 기술개발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돼지이력제의 궁극적인 목표인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는 농장의 위생관리 수준과 농장에서는 확인할 수 없고 도축단계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질병 자료를 농장에 주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질병피드백이 이뤄지는 기능도 추가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도축·가공단계

농장에서 아무리 기록관리를 철저히 한다고 하더라도 도축·가공과정에서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돼지이력제의 의미가 없어진다.
때문에 도축·가공단계에서 철저한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이력번호 자동마킹기 등 각종 인프라 구축이 이뤄져야 한다. 그런데 이들 기기들이 가격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지금도 일부 도축장과 육가공공장들은 열악한 환경에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만만치 않은 비용이 소요되는 돼지이력제에 참여시킬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또한 도축가공업계는 쇠고기이력제 시행시에도 인건비 상승, 신뢰성과 인식율 저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돼지고기 유통의 특성상 지육유통이 아닌 부분육 유통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체단위가 아닌 농장단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질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삼겹살이나 후지 등의 부위는 단일 포장으로 유통이 가능하겠지만 소위 말하는 항정살, 갈매기살 등 특수부위의 경우 어쩔 수 없이 여러 개체가 함께 포장이 이뤄져야만 한다.
때문에 부분육 유통과정에서 묶음단위로 이력제를 표시할 경우 한 농장이 아닌 2∼3개 농장의 돼지가 섞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럴 경우 과연 이력 추적에 실효성이 있을지도 의문이라는 것이 유통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이와 관련 대한육가공 박전준 대표는 “단계별 적절한 수준으로 추적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돼지의 경우 다양한 유통경로로 인해 유통 경로가 길어지고 중간단계에서 개입할 여지도 많아 역추적이 어려워질 것”이라며 “가능한 시스템부터 시작해 적용단계를 확대 보완해 가는 방식을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판매·소비단계

농림수산식품부는 돼지이력제 시범사업을 생산단계 이력관리와 유통단계 이력관리 등 2가지 유형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생산단계 이력의 경우 소비단계까지 정보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겠지만 문제는 유통단계 이력관리다.
왜냐 하면 소비자가 최종 소비 단계에서 돼지고기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확인시켜 줄 것이냐 이다.
돼지의 경우 다양한 품종과 생산 두수 등을 감안하면 쇠고기 이력제와 같이 DNA 동일성 검사를 통한 정보 제공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이다.
현재 소의 DNA 동일성검사 비용은 건당 2만7천700원과 인건비, 시료, 시약 비용 등을 합치면 4만원 이상이 소요되는데 현재 1.5%(2만3천두)를 검사하는데 연간 10억 원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돼지에 적용할 경우 2011년 도축두수 1천만 두 기준으로 1.5%면 15만두에 달한다. 검사비용으로만 100억원 가까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점차적으로 성별을 구분하고 모돈이나 종돈으로 관리하겠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이와 관련 학계 관계자는 “선진국처럼 물량과 서류만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도록 생산에서 도축과정까지 엄격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며 “수입산 돼지고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기술개발도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