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해양배출 중단후 축분뇨 정화방류 급증

경북 2년전보다 정화방류농 2.5배 이상 늘어…전북 43%·경남 16% ↑

이일호 기자  2012.08.15 15:39:34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한돈협 경영실태 조사결과…전문가들 “환경당국 억제정책 재검토돼야”  


해양배출 의존도가 높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정화방류를 통해 가축분뇨를 처리하는 양돈농가들이 급증하고 있다.

올해 해양배출 전면중단 이후 정화방류 억제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환경당국의 입장과는 정면 배치되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분석이다.

2012년 양돈농가 경영실태 조사에 나선 대한한돈협회에 따르면 전업농 중심으로 이뤄진 조사대상 1천974개소 가운데 가축분뇨를 정화방류하고 있는 곳은 7.3%인 145개소로 집계됐다.

2천76개소 가운데 6.9%인 144개소가 정화방류를 선택하고 있었던 지난 2010년 조사때 보다 그 비중이 소폭 높아졌다.

주목할 것은 경남과 경북, 전북 등 해양배출 의존도가 높았던 지역 농가들의 추세.

경북지역의 경우 지난 2010년 조사 당시 8개소였던 정화방류 농가가 올해 조사에서는 21개소로 늘어났다. 무려 2.5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정화방류 농가가 12개소로 조사됐던 경남지역은 14개소로 16%가, 전북지역 역시 4개에서 7개소로 42.9%가 각각 증가했다. 

해양배출에 의존해 왔던 지역 농가들이 그 대안으로 정화방류를 선택하는 사례가 적지않음을 짐작케 했다. 

이밖에 충북지역도 정화방류 농가수가 두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정화방류 농가가 가장 많았던 충남의 경우 68개소에서 47개소로, 경기도는 41개소에서 38개소로 각각 감소해 눈길을 끌었다.

정화방류농가들의 사육규모도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올해 조사에서 정화방류농가들의 사육두수가 전체 조사대상의 17.3%에 달했다. 2010년 조사당시 13.6%와 비교해 3.7%p 상승한 것으로 사육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농가 사이에 정화방류에 대한 선호도가 꾸준하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조사결과에 대해 방류수의 총질소 허용량을 양축현장에서 적용하기 힘든 수준으로 낮춰가는 등 관련 규제를 대폭 강화, 사실상 정화방류 억제하는 데 무게를 두고 있는 환경부 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함을 뒷받하는 근거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들은 “조사대상 농가가 바뀔수도 있는 만큼 정화방류 농가숫자나 사육두수의 증감폭이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는 있어도 증가추세는 분명히 확인된다”며 “환경당국은 가축분뇨 처리대책에 대해 보다 현실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