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은희 기자]
정부가 지난 3일 돈가 안정을 위해 국내산 돼지고기 적정 공급과 국내산 돼지고기 소비확대를 추진하는 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그 실효성에 대해 섣부른 예단은 바람직하지 않다는게 전문가들의 전반적인 시각이다.
후지 물량 소비늘어…재고 부위 군납 등 추가대책 필요
저능력 모돈 감축·불량자돈 도태 농가 참여 성패달려
공감대 형성…실행은 ‘글쎄’
우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불량모돈 감축과 자돈 도태의 경우 어디까지나 농가 자율에 맡겨져 있다. 농가 참여율에 따라 성패가 좌우될 수밖에 없다.
양돈농가들 사이에서는 어느 정도 그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분위기. 다만 실행으로 이어질지는 의문이다.
무임승차자가 최후의 수혜자가 됐을 뿐 만 아니라 감축분 만큼 후보돈을 사전에 확보, 감축지원금이 결과적으로는 ‘후보돈 갱신비’ 가 돼버린 과거 모돈감축사업의 전철을 그대로 밟을수 있다는 우려가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 기업형 양돈농가는 “지난해 입식분 대부분이 F2다. 불량모돈이긴 하지만 절대물량이 부족해 줄일수 없는 형편”이라며 “저능력 모돈을 도태시켜야 생산성도 높아진다는 것은 잘알고 있지만 실제로 참여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털어놓기도 했다.
결국 양돈현장에 확산돼 있는 불신을 어떻게 해소하느냐가 국내산 돼지고기 적정공급이 성공을 거두기 위한 1차 관문이 된 셈이다.
“왜 후지만…”
육가공업계에서는 돈가 폭락시 후지 2만톤을 공매 비축토록 하겠다는 정부방침에 대해 어떤 형태로든 돼지가격 지지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육가공업계 입장에서는 아쉬운 부분도 적지 않다는 반응이다.
현재 냉동갈비와 등심을 중심으로 재고가 쌓여있는 만큼 후지 한부위로 국한하기 보다는 비축주체가 보다 자유롭게 선택할수 있도록 탄력적인 운용방안이 마련돼야 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후지 가격이 kg당 2.4달러에 형성, 관세 및 제반비용을 포함할 경우 3천3백원안팎에 거래되고 있는 반면 국내산 후지가격은 이에 미치지 못하며 대다수 업체들이 국내산을 선택하고 있는 현실을 그 배경으로 지목하고 있다.
각급 학교의 개학과 더불어 후지 재고분이 식자재 물량으로 소진됐고 국내 햄ㆍ소시지가공업체도 국내산 사용비중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시기적으로도 적절치 않다는 분석도 있다.
1차 육가공업체의 한 관계자는 “연말 손익분기점을 맞추기 위해 추석을 앞두고 돈가가 하락하는 시점에 비축을 하는게 보통이지만 올해는 소비부진이 지속되면서 돈가 하락폭도 크지 않아 작업량을 늘릴 수 없다”며 “냉동갈비를 군납으로 납품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양돈불황이 장기화 될 것이라는 전망도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2차 육가공업체의 한 관계자는 “실제 냉동육 비축시 운반비와 외부 창고임대료, 해동에 따른 손실비용까지 감안하면 총 7~8%이상의 비용이 더 올라가는 것을 감안할 때 충분치는 않지만 정부가 제시한 비용이 어느정도 도움은 될 것”이라면서도 “그렇지만 6개월 뒤에 선도 리스크와 돈가예측이 되지 않고 있어 업체 마다 비축여부를 결정하기가 어렵다”고 밝혀 육가공업계의 고민을 짐작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