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소비자 고려…쇠고기등급제 개선 필요”

김연화 소비자단체협의회장, 축정포럼서 의견 제시

김영란 기자  2012.10.29 13:50:00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영란 기자]

 

이력제 전축종 확대·HACCP 축산물 차별화 등
생산-소비자 신뢰 구축위한 패러다임 변화 강조

 

김연화 회장(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한국소비생활연구원장·사진)은 지난 22일 현행 쇠고기등급제는 공급자(생산자) 위주로 만들어진 만큼 이제부터는 수요자인 소비자도 고려한 제도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김 회장은 이어 현행 제도는 1++ 위주로 사양관리를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며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힐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이날 축정포럼(회장 윤봉중)으로부터 초청을 받고 ‘축산식품 신뢰회복을 위한 방안’이란 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김 회장은 정부가 둔갑 방지를 위해 2009년 7월부터 유통단계에서의 쇠고기이력추적제를 전면 시행하고 있으며, 소 사육단계부터 부여된 개체 식별번호가 모든 유통단계까지 추적관리하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정책이라면서 이 제도를 타축종으로까지 확대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가 더욱 구축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요망했다.
또 축산물 원산지 단속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소비자단체와 생산자단체의 민간 감시기능을 더욱 강화해야 하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특히 지방을 기피하는 현대인들의 요구에 맞게 등급제를 개선하고, 산지가격과 연동해서 소비자가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안도 강구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HACCP를 도입한 농장에서 생산된 축산물이나 그렇지 않은 축산물의 차이를 알고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교육이 중요하다며 소비자가 HACCP 식품을 찾을 수 있게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생할 수 있는 정책을 입안해야 그 정책이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따라서 고품질 제고 정책 패러다임에서 소비자 신뢰 구축을 위한 패러다임으로 정부 정책도 전환하고, 축산식품의 선택권을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방안도 강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축산물에 대한 왜곡된 정보 노출로 청소년층의 육류기피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대한 인식 개선 대책도 필요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