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농림축산식품부’로 개칭…축산실 신설을

대선 유력후보 해수부 부활 공약…새 정부 조직개편시 반영 절실

김영란 기자  2012.11.21 15:05:02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영란 기자]

 

축산업계 “수산분야보다 규모 큰 축산조직 강화 당연” 강력 주장

 

농업·농촌의 성장 동력인 축산업이 규모에 비해 제대로 된 가치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면서 축산업계가 축산조직 확대와 축산 인프라 구축 등에 대한 지원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축산업계는 특히 유력 후보들이 해양수산부 부활을 공약으로 내놓고 있는 점에 주목, 새정부들어 농림수산식품부 명칭 변경이 요구되는만큼 차제에 ‘농림축산식품부’로 개칭할 것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대선 후보들이 축산에 비해 생산 규모가 월등히 작은 수산분야에 대한 조직 강화 등 공약을 내놓으면서도 유독 축산분야만 조직 확대와 산업 지원 강화와 관련, 이렇다 할 약속을 하지 않고 있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 근거로 지난 2010년에는 축산 생산액이 17조5천억원이었음을 강조한다. 2011년에는 FMD 여파로 다소 줄어들긴 했어도 14조9천억원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생산액 순위에서도 10위안에 무려 6개 품목(돼지, 한우, 닭, 우유, 계란, 오리)이 2~7위에 포진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실제로 경제발전과 더불어 농업부분은 사양화되어 생산액이 점점 줄어드는데 비해 축산부문은 꾸준히 증가 현상을 보이면서 우리나라 농업의 성장산업으로 자리매김 했다.
여기에다 가축(축산)은 곧 현금이기 때문에 농촌경제를 움직이는 원동력으로 농촌을 유지시키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하고 있다.
축산업은 이같은 경제적 측면 뿐만 아니라 국내 축산물의 안정적 공급으로 국민들의 체력 향상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도 평가되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 조직이나 예산은 축산업의 규모에 비해 턱없이 열악하다는 인식이 축산업계에 폭넓게 퍼져 있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현 농림수산식품부를 농림축산식품부로 개칭한 뒤 부내에 ‘축산실’을 신설하는 등의 조직 확대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노경상 한국축산경제연구원장은 “일부에서 축산업의 주원료인 사료를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부가가치가 낮은데다 가축분뇨 등이 환경오염을 야기시킨다는 단순한 논리로 축산업의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비판하는 것은 매우 잘 못된 시각”이라며 축산조직의 확대는 반드시 이뤄져야 할 필수 과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