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컨설팅 수혜자 확대·사료안정기금 도입 강조도
◆농가교육
‘생산성향상 컨설팅사업’과 ‘돼지이력추적시스템 연구’가 보다 많은 농가에게 혜택을 줄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게 양돈현장의 목소리였다. 일각에선 정부에서 해야 할 일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밖에 농가교육의 효과제고를 위한 사전 홍보, 돈사화재 발생시 대처방법 등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관리위는 이에대해 생산성향상컨설팅 사업으로 보다 많은 농가들이 혜택을 볼수 있도록 지역안배와 일정부분 자부담 부여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업계획수립
돈가하락시 홍보예산 배정과 매년 수급안정자금 예산비축 등 돼지가격안정 예산에 대한 요구가 적지 않았다. 정부지원금 일몰제에 대비하되 정부 사업과 자조금사업을 철저히 구분해야 한다는 요구도 많았다. 일부 지역에서는 후지수매비축사업이 자조금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었다. 수입육과 차별화, 그리고 돼지고기가 주식이 될 수 있는 장기적인 홍보전략 수립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관리위는 이에대해 내년 예산에 돈가안정사업비로 20억원을 책정했으며 전체 예산의 10% 범위내에서 수급안정자금 예산을 책정, 필요시 긴급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부지원금 일몰제에 대비한 다각적 재원확대방안과 함께 농가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농가거출금 여부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책
사료안정기금 도입이 반드시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라는 요구가 이어졌다. 일부지역에서는 관리위원장과 한돈협회장의 분리를 통해 독립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수급안정을 위한 지역별쿼터제 도입, 그리고 양돈장 인력 수급 관련 내용의 홍보에 대한 제안도 이뤄졌다.
관리위는 이에대해 사료안정기금 도입을 축단협 차원에서 여야 대선후보에게 건의했으며 제19대 국회에서는 4명의 의원이 입법발의했음을 설명했다.
관리위원장과 협회장 겸직 여부는 대의원들의 투표로 결정할 사항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