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급식 납품 등 정부차원 안정 소비처 확보 지원을”
검역검사본부 “유통단계 개입 계획 아직 없어” 밝혀
산란계 동물복지 농장에서 생산된 계란이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에서 지난 7월11일 12농장을 인증한 것으로 시작된 산란계 동물복지 농장은 현재 전국적으로 34곳이 운영 중이다.
산란계 동물복지 농장은 닭을 방사 혹은 무창계사에서 사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시설이 비교적 간단해 많은 농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 한국양계농협이 산란계 복지농장에서 생산된 계란의 소비 확대를 위해 서울 강남의 한 대형마트와 계약을 하고 직거래 시범사업에 나섰다.
한국양계농협 측은 지난 4일부터 경기도 여주의 한 산란계 복지농장에서 당일 생산된 계란을 빠른 납품을 통해 대형마트에서 곧바로 판매하면서 판매 효과를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양계농협은 시범사업을 한 달간 추진하고 지속여부, 수정할 점 등을 파악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농가들은 이와는 별도로 동물복지 농장에서 생산된 계란이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단체급식 등으로 납품이 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기도 안성에서 산란계 동물복지 농장을 운영 중인 한 농가는 “닭의 사육밀도가 낮아 겨울철에 니플이 얼어 열풍기를 사용하다 보니 생산비가 상승한다”며 “생산비가 상승한 상태에서 유통마진까지 생겨 소비자 가격이 상당히 올라가는 문제가 생긴다”라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가 믿고 먹을 수 있는 고품질의 계란이라는 컨셉으로 생산되는 복지농장 계란이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있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정부 측은 이에 대해 아직까지는 유통과정의 개입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검역검사본부 관계자는 “현재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 농가들은 풀무원, CJ 등의 기업과의 거래를 통해 납품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검역검사본부에서는 현재 인증에 대한 업무와 홍보를 담당하고 있고 유통단계의 개입은 아직 계획이 없다”라고 말했다.
대한양계협회 안영기 채란분과위원장은 “정부에서 지자체와의 연계를 통해 급식 등으로 적정한 가격에 납품한다면 농가도 살고 계란 소비도 늘어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정부 측과 동물복지 농장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