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친환경 축산, 전후방산업까지 포괄적 접근을”

‘친환경축산 세미나’서 제기…공감 이뤄

이일호 기자  2012.12.17 14:20:02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축산부문 별도 제도 정립…효율성 높여야

 

효율적인 친환경축산 육성을 위해서는 보다 광의적인 접근과 함께 축산부문 별도의 제도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친환경축산협회(회장 석희진)의 ‘2012 친환경축산세미나’<사진>에서 주제발표 및 토론에 나선 각계 전문가들은 이같이 공감했다.
지난 13일 서울 성내동 농협 서울지역본부에서 개최된 이날 행사에서 서울대학교 최윤재 교수는 ‘친환경축산,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발제강연을 통해 “친환경축산은 이제 지속가능한 축산업의 선택이 아닌 필수조건”이라고 전제, 이를위해 넓은 의미의 친환경 축산 개념 정립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했다.
지금까지는 사육단계에 정책과 관심이 집중돼 왔다는 것이다.
최윤재 교수는 따라서 사료와 동물약품, 기자재, 도축, 가공, 판매 등 축산관련 전후방의 모든산업까지 친환경축산 개념을 접목시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비자 신뢰를 얻기 위한 국내 축산물의 안전성 교육과 홍보강화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패널토론시간에는 이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다.
황병익 전 한국낙농경영인회장은 “친환경축산 관련 인증제도가 단순히 인증 자체를 위한 제도로 굳혀지고 있는 양상”이라며 “(최교수의 지적대로) 보다 광의적인 접근을 통해 생산에서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전부문이 친환경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토론에 나선 이상철 국립축산과학원 연구관은 친환경축산 관련 정책 가운데 현실성이 결여된 부분도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면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상철 연구관은 다만 “현행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는 광의적 개념의 친환경축산 등 축산업계가 요구하는 개선대책을 충분히 수용하기 어려운게 현실”이라면서 “축산을 별도로 분리한  친환경축산육성법 제정과 시행이 검토돼야 할 시점”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노경상 한국축산경제연구원장을 좌장으로 한 이날 패널토론에는 △정구용 한국축산식품학회장 △김자혜 소비자시민의 모임사무총장 △김건태 전 대한한돈협회장 △강병무 친환경축산조합장협의회 부회장 △이덕선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 감사 △이문혁 차황친환경축산영농조합법인 대표 △강화순 전 한국양돈연구회장 등도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