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농협, 축산조직 산업비중 맞춰 키워라

■ 현장칼럼/ 신정훈 부장

신정훈 기자  2012.12.20 10:39:53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신정훈 기자]

 

말로만 외치는 경제사업 활성화

 

■ 현장칼럼/ 신정훈 부장

 

그동안 남모를 홀대를 당해왔다고 생각하는 축산인들은 이제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 제대로 된 축산정책, 지속가능한 축산기반을 뒷받침할 수 있는 행정조직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희망을 품고 있다. 대선주자들의 ‘농림축산식품부’ 약속 때문이다. 80년대 이후 급격한 양적팽창과 질적 성장으로 축산업을 농촌경제의 핵심 산업으로 발전시켜 온 축산인들이 이제야 산업비중에 맞는 대우를 받을 수 있게 됐다는 기대감으로 행복해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여기저기서 내년 봄 정식으로 ‘농림축산식품부’가 출범할 때까지 끝까지 챙겨 보자는 지도자들의 다짐도 들려온다. 현재의 농림수산식품부 내부에서도 축산실(2국8과) 신설에 대해 긍정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는 소식도 흘러나온다.
그런데 이런 분위기와 전혀 다르게 거꾸로 가는 곳도 있다. 바로 농정의 파트너라고 자임하는 농협중앙회다.
협동조합을 농민에게 돌려주겠다는 명분으로 지난 3월2일 사업구조개편을 단행한 농협은 최근 조직개편에서 축산경제는 물론 농업경제까지 부서를 줄였다. 교육지원에서 줄이니 경제부문도 당연히 따라와야 한다는 논리로 밀어붙인 결과다. 일선에 인력배치를 집중하는 방식의 조직슬림화를 위한 것이라는 강변도 들린다.
문제는 경제사업 활성화라는 명분에 모든 것을 걸고 있는 농협중앙회가 내부에서 조직 그림을 그릴 때는 절대로 경제사업을 중시하지 않고 있다는 인식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농협이 단순한 계량화의 잣대에, 숫자의 논리에 매몰돼 경제사업을 홀대하는 모습을 보인 것은 사실 오래된 얘기다.
그래도 달라지겠다는 농협이, 경제사업 활성화를 외치는 농협중앙회가, 내부적으론 경제사업 활성화와 전혀 다른 논리로 조직과 인사를 풀어내는 관행을 지금도 되풀이하고 있다는 점은 씁쓸함을 넘어 어이없을 지경이다. 언제까지 고착화된 기득권이 고집하는 힘의 논리만으로 조직과 인력을 운영할지 걱정이다.
농협은 이제라도 정치권과 행정부처까지 인정하는 축산의 비중을 다시 한 번 되돌아봐야 한다. 그리고 산업 비중에 맞는 축산조직을 만들어 경제사업 활성화에 매진해 농촌을 행복하게 만드는 협동조합이 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