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사년 새해들어 육계관련 단체들이 정부를 향해 잇달아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처음 시작은 한국토종닭협회가 끊었다. 토종닭협회는 지난 7일 농림수산식품부를 상대로 점점 악화되고 있는 국내 닭고기 시장을 지키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정책적인 상생방안을 마련해달라고 호소했다.
대한양계협회도 분주하게 움직였다. 이준동 양계협회장은 최근 방송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농가들은 도산 번호표를 뽑아든 것이나 다름없다”며 양계농가들의 어려움을 알리기도 했다.
이어 11일에는 한국계육협회에서도 정부에 건의문을 제출했다. 이들 세 단체는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전 방위적인 축산물의 소비 위축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수입육의 시장 점유가 확대됨에 따라 국내 닭고기산업이 갈수록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이 기간동안 농림수산식품부 측은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계열화 업체들이 물량의 90% 이상을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소비물량에 따라 비축과 감축을 조절해야 하는데 서로 경쟁하다 보니 공급 과잉이 이어지고 있다”며 “어려움이 많은 것은 알고 있지만 정책적인 개입보다는 자조금을 활용한 자율감축 독려로 수급조절을 생각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농가들과 계열사의 입장을 대변하는 단체들은 적극적인 정부의 자금지원과 정책개입을 원하고 있고 정부 측은 현재의 자율경쟁 체제를 유지하면서 계열화 사업이 수급조절 기능을 확실하게 담당하길 기대하고 있어 아직까지는 입장차를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앞으로 정부와 관련 기관들이 많은 대화를 통해 국내 닭고기 산업을 지키고 농가와 계열사가 상생할 수 있는 합당한 대책이 더욱 피해가 확산되기 전에 도출되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