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계육협, 정부에 경영안정자금 지원 요청

소비 부진에 시세 전년대비 30% 이상↓…생산비 감당 못 해

김수형 기자  2013.01.16 10:41:04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종계물량 30% 과잉 예상…계열사 도산에 농가까지 악영향
자율비축·과잉물량 조정 자금지원 등 정부 적극 개입 호소

 

“도계육 자율비축 위한 경영안정자금 지원해달라.”
한국계육협회(회장 정병학)가 지난 11일 농림수산식품부를 상대로 ‘계육산업 불황에 따른 사육농가 및 계열업체 경영안정 지원 건의문’을 제출하고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요청했다.
계육협회는 건의문을 통해 현재 육계 kg당 생산비가 1천800원대를 상회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바닥시세는 1천100원대 수준으로 전년대비 30% 이상 떨어진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상황이며, 전체 사육마리수가 7천290만 마리에 달하는 등 닭고기업계가 최악의 상황을 향해 치닫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종계(GPS, PS)사육수수가 적정수수의 30% 이상 과잉공급이 예상되고 있는 반면, 소비는 회복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고 있어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적자누적으로 육계계열화사업자의 도산은 물론이고 그 피해가 사육농가에 까지 이르러 국내 닭고기 산업 자체가 붕괴되는 심각한 상황이 우려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계육협회 측은 계열화업체 중 하나인 (주)매산씨엔에프가 지난달 24일 최종 부도 처리되었고 사육농가의 출하지연과 사육비 지급이 어려워지는 등 불황기로 접어들고 있어 사태가 더욱 악화될 것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에 계육협회는 농식품부에 불황탈출을 위한 대책으로 단기적으로는 자율비축을 위한 경영안정자금 지원과 장기적으로는 종계 생산조정 또는 유통 조절 명령 시행을 위한 자금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사육농가 출하지연 및 사육비 지급 지연을 막기 위해 현재 입식 과잉수수의 1/2수준인 도계육 8천톤(800만수)을 자율 비축할 필요가 있으며 비축보관비 6억1천600만원은 닭고기 자조금 예산에서 충당하되 비축자금에 있어서는 정부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장기적인 대책으로 제시한 종계과잉수수 조정 방안은 원종계의 경우 올 하반기 수입물량부터 업체별로 조정하며 종계의 경우 과잉물량을 업체별로 배당 도태 처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른 소요 예산은 계육협회의 기확보액 22억4천600만원 이외에 추가 소요액에 한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계육협회 정병학 회장은 “수입육의 잠식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사육조정, 잉여물량의 비축 등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지 않을 경우 산업 자체가 흔들릴 위험이 있다”며 “정부 측에서도 계열화 업체의 자율에만 맡기지 말고 육계산업의 안정을 위해 적극 개입에 나섰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