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김연화)도 지난달 28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정부조직개편안과 관련 ‘식품 안전관리 체계의 일원화’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를 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식품안전체계 일원화 방안과 관련해 “사육에서부터 식탁까지의 관리감독은 농림수산식품부가 관리하고 평가와 소통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책임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인수위에 건의했다.
협의회는 특히 “위험관리는 생산단계의 사전 예방 원칙이 중요하고 효율적”이라며 “축산물의 경우 사육과정에서 농가에서의 질병 차단과 이력정보관리가 이뤄져야 하는데, 농가의 안전관리 교육과 지도가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축산식품은 고단백질식품으로 쉽게 부패하거나 오염되는 리스크가 있고, 광우병과 AI와 같은 인수공통전염병을 가지고 있어 농장에서부터 식탁까지 전문가(수의사)가 일괄 관리해야하는 특수성이 크기 때문에 일관성있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의 일원화는 조직의 거대 공룡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단지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조직 확대로만 인식하면 안된다”며 “소비자 중심적 사고를 전제로 시장에서의 효율적인 식품안전 노력을 함께 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협의회에는 한국소비생활연구원, 한국소비자연맹, 녹색소비자연대, 대한주부클럽연합회, 소비자시민모임, 전국주부교실중앙회, 한국부인회총본부, 한국소비자교육원, 한국YMCA전국연맹, 한국YWCA연합회 등 10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