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는 여전히 수의사가 부족하다. 그리고 앞으로 처방제가 제대로 정착되려면 우수 수의사가 배출돼 현장에 원활하게 공급돼야 한다.
하지만 수의과대학 현실은 그렇지 않다. 학생들은 소득이라든가 근무환경 등을 놓고 이리저리 저울질하다가 결국 산업동물을 포기하기 일쑤다. 여기에는 산업동물을 소홀히 하는 교육프로그램도 한 요인이 됐다.
학교입장에서도 소수 희망자 때문에 산업동물 실습시설 등을 두고 정규과정을 운영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산업동물임상교육연수원’이 제시됐다. 산업동물임상교육연수원은 출신대학에 관계없이 수의과대학 학생들이 함께 모여 산업동물 임상을 배우게 된다. 물론 이와 관련 임상 실습시설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일종의 공동이용 개념이다.
이러한 산업동물임상교육연수원이 현실화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올해 산업동물임상교육연수원 설립예산 50억원(국비보조 70%)을 확보하고 사업자 선정에 들어갔다.
지난달 말까지 진행된 사업대상자 공모에는 4개 수의과대학이 응모했고 농식품부는 지난 6일 이들 대학을 대상으로 운영인력 확보, 연수교육, 운영비 조달 등 운영능력을 평가했다.
최종 사업자는 이달 중순경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되면 사업자는 시설, 장비 등을 설치하고 산업동물임상교육연수원을 올해 안에 준공하게 된다.
한 관계자는 “연수원 설립이 산업동물 임상에 대한 수의과대학 학생들의 관심을 크게 증폭시켜줄 만 하다. 수의인력 양성과 더불어 축산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