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계란 생산량 조절 법적장치 마련 우선”

양계협, 유통구조개선TF회의

김수형 기자  2013.03.06 10:21:56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유통센터 수급조절 기능 위해

제도적 장치 선행 수립 강조

 

계란유통센터 건립과 관련해 계란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우선시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대한양계협회(회장 이준동)는 지난 5일 협회 회의실에서 제2차 계란유통구조개선 TF회의<사진>을 개최하고 계란유통센터 건립과 관련된 논의를 이어갔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계란유통센터의 건립 자체가 계란의 수급조절 실패로 공급과잉 현상이 이어져서 추진되는 사업인 만큼 물량 조절을 위한 법적인 장치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나눴다.
회의 참석자 중 한 명은 “계란의 유통이 반드시 유통센터에서 이뤄지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면 각 단체나 개인의 투자도 이뤄지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유통센터와 계란 생산량의 적정 수준이 결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양계협회 측은 본격적인 추진 없이 논의만 이어져 온 계란유통센터 건립 사업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생각이다.
안영기 채란분과위원장은 “더 이상 논의만 진행하다 흐지부지 되는 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계란유통센터를 운영하는 것에 있어서 생산자와 유통상인이 모두 납득할 수 있을 만한 방안을 마련해 농협중앙회에 건의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