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닭고기·계란 유통단계별 가격연동성 높여야”

농경연, 도계육 중심 가격결정 계란집하장 중심 유통구조 강조

이희영 기자  2013.04.19 10:05:49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희영 기자]


닭고기와 계란의 가격 불안정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유통단계별 가격 연동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민국 박사는 ‘물가안정을 위한 축산물과 축산식품 유통체계 구축 연구’를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정 박사는 “닭고기, 계란은 수급 상황에 따라 소비자가격이 합리적으로 반응하는 선순환 유통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유통주체의 의사결정단계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양계산물의 유통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박사는 “닭고기 산업은 가격불안정성이 해소되지 못하는 원인으로 비계열물량의 거래로 형성되는 산지 닭 가격이 닭고기 시장의 중심가격이 되고 있다. 도계육(지육) 중심의 가격결정방식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며 “닭고기 계열업체의 과다경쟁도 닭고기 시장 가격불안정의 주요 원인이다. 계열업체 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닭고기 수급조절능력의 향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계란시장의 가격 불안정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계란집하장(GPC) 중심의 산지유통체계가 확립되어야 하고 대도심 거점 계란유통센터와 연계를 통해 많은 계란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고 밝혔다.
정 박사는 “계란 분산에 유통 상인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계란산업도 대규모 집하장을 중심으로 계열화가 진행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계란산업도 계열화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협동조합 중심의 계열화가 활성화되어 계란산업의 균형발전을 유도하고 계란시장을 안정시켜 나가는 역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