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활용도 제고 위한 전산프로그램 개선 추진도
돼지정액증명서 발급 방법이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한국종축개량협회와 한국돼지유전자협회는 최근 서울 서초동 제1축산회관에서 간담회를 갖고 돼지AI업계 활성화방안을 모색했다.
종개협 이재용 회장이 주재한 이날 간담회에서는 특히 정액증명서 발급에 대해 집중 논의가 이뤄졌다.
그 결과 정액증명서 발급 관련 종개협의 전산프로그램을 손질, 일선 돼지AI센터의 활용도를 높이기로 했다. 기존 프로그램의 경우 정액발급 뿐 만 아니라 AI센터의 경영에도 접목할수 있도록 개발됐지만 정보노출 우려와 함께 입력과 사용 등에 따른 번거로움 등으로 인해 그 활용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이에따라 두협회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T/F팀을 구성, 정액발급에 따른 이중업무 방지와 함께 AI센터 운영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전산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도출키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또 비육돈 생산용 정액증명서에 한해 발급수량에 관계없이 관리비수준에 해당하는 일정액의 비용만을 부담토록 하되 해당AI센터는 정확한 데이터를 입력토록 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종개협 김성수 종돈개량부장은 이와관련 “일단 돼지유전자협회가 회원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한 결과에 따라 추진여부가 결정되겠지만 AI센터의 부담은 최소화하면서도, 정액증명서 발급 취지를 최대한 살릴수 있는 대안이 될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현장의 여론을 최대한 수렴, 돼지AI산업 활성화를 뒷받침할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