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감축목표 달성 ‘파란불’ 켜졌지만…

양돈업계 올인-모돈 10%감축 어떻게 돼가나

이일호 기자  2013.05.08 11:02:03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1일 현재 2천900호, 8만5천두 ‘위임장’ 접수돼

부업농 제외 실목표 육박…지역별 큰 편차 논란

경기도 배정량 132% VS FMD 무풍지역 50%  


범 양돈업계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모돈 10% 감축사업에 파란불이 켜졌다.

다만 양돈농가들의 동참의지가 지역별, 규모별로 큰 편차를 보이고 있어 이대로라면 농-농 갈등의 소지도 배제치 못하다는 지적이다.

대한한돈협회(회장 이병모)에 따르면 지난 1일 현재 모돈감축을 위한 정보이용 동의서, 이른바 ‘모돈감축 위임장’을 제출해온 양돈농가는 모두 2천894호인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밝힌 전국의 양돈농가 6천130호의 47.2%에 해당하는 숫자다. 

그러나 사육두수 1천두 미만인 3천78호와 함께 FMD 사태당시 전량살처분 조치가 이뤄진 농가 중 사육두수 2천두 미만은 농가는 감축사업에서 제외된 상황.

따라서 실제 감축대상농가는 최대 3천호를 넘지 않는 만큼 당초 목표의 97%에 육박하는 농가가 동참의사를 밝혀온 것으로 분석된다.

모돈감축물량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들 동의서 제출 농가들이 감축의사를 밝혀온 모돈마릿수는 8만5천244두. 목표치 10만두의 85.2%에 해당하는 물량이지만 전체 사육두수의 10%를 차지하고 있는 1천두미만 농가의 모돈을 제외한 실제 감축목표 9만두의 95%에 이르는 규모다.

한돈협회측은 감축대상에서 제외된 농가들도 일부 위임장을 제출해 온데다 모돈감축 참여 농가에 한해 사료구매자금을 지원하겠다는 정부 방침을 계기로 그간 관망적 입장을 보여왔던 농가들까지 속속 제출의사를 밝혀오고 있는 만큼 당초 목표 달성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역이나 규모에 따라서는 모돈감축 참여의지가 큰 차이를 보이며 논란도 예상된다.

우선 경북과 경남, 경기지역 농가들은 이미 배정량을 훌쩍 넘어선 감축계획을 밝혀왔다.

경북의 경우 배정량의 141.1%, 경남은 131.7%에 해당하는 모돈감축 계획을 동의서에 제시했다. 특히 FMD 피해가 컸던 경기도에서 접수된 모돈감축 계획량도 당초 배정량의 132.4%에 달해 눈길을 끌었다.

반면 지역전체가 감축대상에서 제외된 강원도외에 5개 지역의 감축계획은 평균치를 밑돌았다. 이 중 감축계획이 아직까지 배정량의 50% 수준인 일부지역의 경우 FMD 피해를 모면했던 곳이어서 더욱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해당지역의 한 양돈지도자는 “감축대상 농가수나 사육규모가 현실보다 많이 부풀려져 있다”며 “여기에 양돈농가들이 실제로 감축가능한 모돈숫자만 동의서에 게재하다보니 배정량에 훨씬 미치지 못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도 보다 적극적인 모돈감축사업 동참을 독려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그 수가 100호를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 1만두 이상 사육규모의 농가의 참여율도 아직까지는 부진하다. 지난 1일 현재 40% 정도의 농가에서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돈협회와 협약식까지 체결하며 모돈감축에 참여를 약속했던 5개 양돈기업 가운데 지금까지 선진과 팜스코, 이지가족농장 등 3개 업체 농장의 동의서만이 접수된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이병모 회장은 이와관련 “사료생산량이나 돼지도축두수 등 각종 지표를 통해 모돈감축이 이미 진행되고 있음을 짐작할수 있는 만큼 기대가 크다”며 “다만 무임승차 농가나 기업의 경우 각종 정책적 불이익과 여론적 압박 등 유무형의 제재를 피할수 없음을 직시, 반드시 감축사업에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