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축산조직 속히 확대 개편을

‘축’자만 넣었을뿐…박 대통령 공약 잊었나

김영란 기자  2013.05.20 11:17:51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영란 기자]

 

전문가들 정책국, 축산국·수의심의관제로 개편 주장

 

농림축산식품부의 축산행정조직 확대 개편은 요원한 일인가.
축산의 중요성을 인식한 박근혜 대통령이 부처 명칭에까지 ‘축’자를 넣었는데도 불구하고 정작 농림축산식품부내에서는 축산조직 확대에 대해 매우 시큰둥한 분위기다. 오히려 촌스럽게 ‘축’자를 왜 넣었느냐는 부정적 인식이 팽배해있다.
축산을 잘 챙길 수 있도록 정부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한 박 대통령의 말에도 힘이 실리지 않아 보인다.
상황이 이러자 축산업계에서는 축산행정조직 확대 개편을 다시 또 요구하고 나섰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인 ‘지속가능한 친환경 축산업 육성’ 실현을 위해서도 반드시 축산조직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축산업계에서는 그동안 수없이 요구해 온 대로 축산정책국을 축산정책실로 확대하여 축산정책과 방역수의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함으로써 박 대통령의 공약사항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축산수의 전문가들은 ‘식품’ 안전 관리 업무가 식약처로 이관됨에 따라 인원이 여의치 않을 경우 인력 증원을 최소화하면서 현 축산정책국을 축산국과 수의심의관 체계로 개편하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농축산부 내부에서 조차 축산국 확대 개편에 대해 적지 않게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어 축산행정조직 확대에 먹구름이 짙게 드리워져 있다.
앞으로 축산관련단체에서는 이를 관철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박 대통령의 공약이 제대로 실천될 수 있도록 감시 활동을 늦추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창호 축단협회장은 “부처명칭에 ‘축’자 하나만 들어갔을 뿐이지 이에 따른 아무런 메리트가 없는 게 현실”이라고 개탄하면서 “더욱이 영문 부처명에는 아예 ‘축’자 조차도 빠져 있는 상황에 대해 더 이상 할 말을 잃었다”며 앞으로 명실공히 축산 조직이 확대될 수 있도록 활동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