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급감 불구 고정비용 그대로…적자심화
‘당근·채찍 병행’ 정책 구조조정 뒷받침을
돼지인공수정(AI)업계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돼지가격이 생산비 이하에 형성되는 불황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돼지정액판매량이 크게 줄어든 상황. 더구나 범 양돈업계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모돈감축 추세에 따라 돼지정액 시장 자체가 줄어드는 처지에 놓여있지만 마땅한 탈출구가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돼지AI업계에 따르면 업체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올들어 돼지정액판매량은 FMD 이전과 비교해 10~15%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부권을 시장으로 하고 있는 한 AI센터 관계자는 “모돈수가 감소하는 상황에 정액 자가 채취추세가 점차 확산되고 있는데다 교배회수를 줄이는 농가까지 속속 출현, 매출이 크게 줄고 있다”며 “하지만 AI사업의 특성상 고정비용을 줄이기 힘들다보니 올초부터 적자폭이 더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다른 센터들도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가동률이 떨어진다고 해서 웅돈규모 자체를 줄인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할 뿐 만 아니라 정액사용량이 감소했다고 해도 해당농장에 대한 배송은 달라질게 없는 만큼 인건비와 물류비용부담은 이전수준 그대로라는 것.
더욱 큰 문제는 희망이 보이지 않는 앞으로의 전망.
국내 양돈산업의 생산성이 더 좋아질 경우 10%의 모돈감축만으로는 부족할 것이라는 관측이 대세인 만큼 앞으로 더 위축될 수 밖에 없는 돼지정액시장의 현실은 AI업계를 암담케 하고 있다.
영남권의 또다른 AI센터 관계자는 “모돈수가 회복되지 않는한 적자구조에서 벗어날 방법은 없다”며 “마지막까지 버티면서 문닫는 업체들의 물량을 확보하는 수 밖에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자본력이 충분치 않은 AI업계로서는 이러한 구조조정 과정에서 살아남을수 있는 곳들이 거의 없을 것이라는게 중론이다. 이는 곧 AI산업의 붕괴를 의미한다.
그러다보니 일각에서는 경영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여보려는 분위기가 확산될 경우 저품질 정액의 양산을 초래, 결과적으로 국내 양돈산업 전체로 그 영향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따라 AI업계의 건전한 구조조정이 이뤄질수 있는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기존 시설현대화 및 AI센터간 통합지원 정책이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만큼 현실적인 보완대책을 마련하되 한편으로는 규제를 강화하는 등 당근과 채찍을 병행하면서 고품질 정액생산 능력을 갖춘 업체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최근의 불황속에서도 연착륙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
AI업계의 한관계자는 “우수AI센터 인증제를 활용하는 방법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내년부터 AI센터 허가제가 시행되는 만큼 사전 실태조사를 토대로 그 충격과 혼란을 최소화하면서 돼지AI산업의 합리적인 구조조정이 이뤄질 수 있는 대책이 제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