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식 지방은 줄이고 근내 지방 축적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처음으로 발견돼 한우 고급육 생산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한우 고급육 생산에 있어 중요한 근내 지방을 만드는데 관여하는 48개 유전자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특히 48개 유전자 중에서 Intergrin, EGR2, FAS, KLF7의 유전자가 근내 지방에 주로 차별적으로 나타난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이현정 연구사는 “근내 지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복부, 피하 지방 등 사람들이 먹지 않는 불가식 지방까지 함께 늘어나 육량등급을 떨어뜨리고 사료가 낭비되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불가식 지방은 줄이면서 근내 지방도만 높여 한우 고급육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 왔으며 그 결과 이 같은 유전자를 찾아냈다”고 말했다.
이 연구사는 “이들 유전자들이 세포망을 통해 부위간 지방축적의 차이를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기초로 근내 지방도가 높은 고급육을 생산할 수 있는 한우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