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가치 없는 담보 제시…정산 중단 후 자취 감춰
동일인 의한 ‘계획적 행각’ 의혹…각별한 주의를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신종사기로 의심되는 피해가 속출,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본지에 제보된 내용에 따르면 올들어 상대적으로 좋은 조건에 현혹, 확실한 연고가 없는 유통업자에게 출하했다가 돼지값을 떼는 사례가 다수 확인되고 있다.
더구나 이러한 피해가 동일인에 의해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계획적인 사기행각이 아니냐는 의혹마저 낳고 있다.
제보자가 전하는 이 유통업자에 의한 농가피해 과정은 이렇다.
우선 지역 사료대리점이나 상인을 통해 좋은 조건으로 돼지를 사가겠다며 양돈농가에 접근한뒤 한, 두차 정도는 정상적으로 정산을 해주며 신뢰를 얻는다. 하지만 이후부터는 사정이 달라진다. 정산이 자꾸만 지연되다가 마침내는 정산 자체가 중단되고, 해당유통업자는 자취를 감춘다는 것.
물론 정산 지연에 불안을 느낀 양돈농가들이 중간 역할의 지역 사료대리점이나 상인에게 항의도 해보지만 이들에게 맡겨진 해당유통업자의 담보물에 안심, 추가로 돼지를 출하했다가 피해규모가 눈덩이 처럼 불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해당업자가 제시한 담보물의 가치. 실제 존재하는 담보물이면서도 재산가치는 대출조차 기대할 수 없을 정도여서 피해농가들은 떼인 돼지값을 회수할 방법이 없는 실정이라는 것.
제보자는 “지역 사료대리점이나 상인 역시 자신들도 피해자임을 강조하며 어떻하든 정산을 해주겠다고 설득하는 바람에 효과적인 법적 대응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여러경로를 통해 확인한 결과 충남과 경기도는 물론 경북 지역에서도 동일한 유통업자에 의한 피해사례가 드러났다”며 “경영난에 빠진 육가공업체에 의해 돼지값을 떼는 것과는 달리 동일인에 의해 같은 사례가 반복되고 있는 만큼 분명한 사기행각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피해 양돈농가들은 ‘혹시나 정산대금을 받을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에 조직적인 대응은 물론 외부에 알려지는 것도 꺼리고 있어 이러한 사실을 모르는 또 다른 피해자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지금과 같은 불황시기에는 정산조건 보다는 거래처의 신용과 안정적인 수용능력에 따라 출하처를 선택하는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