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양계협, 계분처리시설 설치 방안 모색

산란계 농가 처리비용 부담에 공공처리장 필요성 대두

김수형 기자  2013.08.14 10:24:22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계분처리 중앙본부·통합운영센터 시범설치 운영 구상

대한양계협회가 산란계 농가들을 대상으로 한 계분처리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양계협회에 따르면 산란계 농장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의 폐기 처리비용 지출 등에 따른 생산비가 늘어나고 있으며, 부산물 처리와 관련된 민원에 따른 행적처벌시 과태료가 부과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일부 농가에서는 친환경 퇴비화를 위한 처리시설을 구입해 운영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경제적 부담도 적지 않은데다, 정부의 가축분뇨 생산쿼터제 도입(안) 검토에 따른 지자체별 공공 계분처리시설 설치, 지역 경종농업과 연계한 계분 통합관리 운영센터 설치 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계협회는 지역별 계분 통합관리 운영센터를 설치하고 지역별로 양계농가, 공공처리장, 경종 농가를 연계할 수 있는 통합적인 종합 운영체를 건립하는 것을 정부에 건의한다는 생각이다.
양계협회의 구상은 이렇다.
우선 내년까지 계분처리중앙본부와 계분통합운영센터를 시범적으로 설치한 후 2019년까지 전국적으로 확대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계분 통합관리 운영센터의 운영 지원과 관련, 민간기업 및 전문기업과 협력하여 운영자 관리교육을 실시하고 지자체를 통한 운영자금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지자체별 농가 분포가 차이를 보이고, 계분 이동에 대한 지자체의 부정적 시각 등이 있는 만큼 아직까지 계분 통합운영센터 건립을 놓고 농가 및 지자체로부터 전국적인 공감대를 형성하지는 못한 상황이다.
이에 양계협회는 계분 통합운영센터 건립을 비롯해 가축분뇨 자원화를 위한 관련법 및 제도 정비, 기존 인프라 등을 활용하는 방법을 병행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양계협회 관계자는 “산란계와 육계 상황이 다르고, 추진 여부에 대한 의견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인 만큼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해 정책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안들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