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돈가 폭락하면 후지 비축하자”

수급조절협의회, 추석부터 연말까지 1만톤…정부 건의

이일호 기자  2013.08.14 10:41:17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등삼겹’ 개발 규정 개선도…자돈 도태사업 ‘백지화’ 


민관으로 구성된 양돈수급조절협의회가 올 하반기 돼지가격 폭락시 후지비축을 정부에 건의키로 했다. 정부도 긍정적인 견해를 보인 만큼 실현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관심을 모았던 자돈도태는 사실상 하반기 돼지가격 안정대책에서 제외됐다.

양돈수급조절협의회(회장 김유용·서울대교수, 이하 협의회)는 지난 9일 서울 서초동 제2축산회관에서 제3차협의회를 갖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정책개선과 자금투입 등 두가지 방법으로 접근한 수급안정대책을 확정했다.

협의회는 우선 자금투입 대책으로 후지 및 일부 기타부위 비축 방안을 내놓았다.

돼지가격 폭락이 우려되는 추석이후부터 연말까지 후지가격이 kg당 3천원이하로 떨어질 경우 1만톤에 대해 비축을 실시하고, 해당업체에 매입가의 일부를 정부와 한돈자조금에서 지원하자는 것이다.

2차 육가공업체가 필요물량을 1차 육가공업체에 발주하는 형태로 추진하며 6개월간 의무 비축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방법도 제시했다. 이럴 경우 구매가격은 3천원이하에서 자율결정된다.

육가공업체별 배분은 한국육가공협회에서 담당하되 FMD 이후 무관세 물량을 받은 업체를 중심으로 가중치를 두도록 했다. 

협의회는 다만 지원조건의 경우 보관료와 보관기간에 따른 제품가치 하락, 감량 등을 고려해 육가공협회가 제시한 의견을 토대로 결정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는 생산비이상의 돼지가격을 위해서는 후지가격 지지가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소비부진에 따른 2차 육가공업체의 구매량 감소와 출하두수 증가가 맞물려 후지 및 지육가가격 하락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협의회는 또 정책개선을 통한 수급안정 대책으로 목전지, 등삼겹 등 신규부위 개발 및 공급이 가능토록 식육의 부위별 등급별 및 종류별 구분방법 개정’ 을 정부에 공식 요구하기로 했다.   

이를통해 저지방부위 생산량을 30% 정도 줄임으로써 부위별 극심한 소비불균형 현상을 해소, 결과적으로 돼지가격 지지와 함께 수입돼지고기와의 경쟁력도 강화할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았다. 수입부산물의 위생·검역강화와 함께 부산물 저지방 가공육 해외수출 강화대책 마련도 정부에 건의키로 했다.

이에대해 농림축산식품부 박홍식 서기관은 “(후지비축사업의 경우)한돈자조금을 통한 자구노력이 포함되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도 적극 검토할수 있을 것”이라면서 “식육 정형기준 개선 역시 시장이 필요로 한다면 해당부처인 식품의약품 안전처와 협의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그러나 자돈도태의 경우 내년도 수급상황을 고려해 차기 회의에서 수급대책에 포함여부를 결정키로 함에 따라 사실상 사업을 포기했다.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30kg미만의 살아있는 자돈 15만두 도태에 농가지원(두당 5만원)을 포함해 모두 92억9천만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는 했지만 내년초에나 그효과를 기대할수 있는데다 도태 확인등 실제 시행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을 것이라는 공감대가 확산된데 따른 것이다.